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다중채무자 부채 탕감방안

다중채무자에 대한 정부의 부채탕감 정책은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다중채무자 생성의 책임이 국가에도 일정부분 있기 때문이죠. 그러나 그 탕감대상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동안의 탕감정책을 보면 부채를 갚지 못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만 부채를 탕감을 해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건 도덕적 해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더구나 빚을 갚지 않고 버티는 자들의 빚을 정부가 나서서 탕감해주면 스스로 열심히 일해서 빚을 갚는 사람들에게는 허탈감만 남게 됩니다. 반대로 생각해봅시다. 오히려 부채를 꾸준히 갚고 있는 사람들에게 탕감을 해줘야하는 거 아닌가요? 열심히 부채를 탕감하고 있는 사람이 더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니까. 그런 사람들의 부채가 줄어들면 그들은 오히려 더 열심히 일하지 않을까요? 이런 사람들이 더 열심히 일하면 나라의 부가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봅니다. 일정부분 스스로 갚아나가고 있는 사람들의 부채를 좀 줄여주십시오. Help those who help themselves.

국정기획위원회의 답변

국정기획위원회에서 답변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모두의 광장’에 방문하여 소중한 의견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우선, 귀하께서 제안해 주신 내용에 대해 소관 부처에서 검토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알려드립니다. <금융위원회> “1. 귀하의 제안은 시행 예정인 장기 연체채권 매입·소각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제안으로 파악됩니다. 2. 현재 시행 예정인 장기 연체채권 매입·소각 프로그램은 정부가 예산 사업으로 진행하는 다양한 저소득·취약계층 지원 사업 중 하나로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3. 물론, 제안 주신 것처럼 성실상환자들의 상대적 박탈감에 진심으로 공감합니다. 3-1. 다만 누구나 장기 연체자가 될 수 있고, 사회 통합과 약자들에 대한 재기 기회 제공 차원에서 너른 양해 부탁드립니다. 3-2. 또, 성실상환자들을 위해 그동안 만기연장·상환유예, 은행/비은행 이자환급 지원을 시행해왔습니다. 향후에도 다양한 지원정책을 추진해 나갈 예정입니다. 4. 또, 해당 프로그램의 대상이 되는 연체자들은 장기 연체에 따른 추심의 고통 및 신용 활동 제약 등을 고려 시 상환능력이 있음에도 고의적으로 미상환하는 채무자가 있을 가능성은 상당히 제한적이라고 예상됩니다. 해당 기준을 고려하여 엄격히 선별하여 지원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5. 마지막으로, 제안 주신 내용을 고려하여 향후 정책 시행 시 성실 상환자들의 박탈감, 도덕적 해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귀하가 제안하신 내용은 국정기획위원회 내 소관 분과위에도 통보하여, 국정과제 혹은 소관부처 정책 반영 여부를 검토할 예정임을 알려드립니다. 다시 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