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영어교육 이젠 바꿉시다 !!!

대한민국은 비영어권 국가들 중에서 영어 구사 능력 순위가 50위입니다. 이는 2024년에 발표된 EF 영어 능력 지수(EPI) 결과이며, 113개국 중 50위를 차지했습니다. 일제강점기 이후 문법위주 교육과 암기위주 교육의 폐해가 아닌가 싶습니다.한국 영어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실생활 활용 능력 부족, 지나치게 시험 중심적인 교육, 그리고 과도한 사교육 의존입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함에도 불구하고 영어 사용 능력 향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1. 실생활 활용 능력 부족: • 문법 및 독해 위주 교육: 한국의 영어 교육은 주로 문법과 독해에 집중되어 있어 실제 의사소통에 필요한 듣기와 말하기 능력 향상에는 부족합니다.  • 실생활 연계 부족: 학교에서 배우는 영어 지식과 실제 영어 사용 환경 간의 괴리가 커서 영어를 실생활에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느낍니다.  2. 시험 중심적인 교육: • 수능 영어: 수능 영어는 듣기와 독해 위주로 평가하며, 말하기와 쓰기 능력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룹니다.  • 단편적인 지식 암기: 시험 점수 향상을 위해 단편적인 지식을 암기하는 방식의 학습이 이루어져 실제 영어 사용 능력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3. 과도한 사교육 의존: • 사교육 시장 팽창: 영어 교육에 대한 과도한 사교육 의존으로 인해 사교육 시장이 팽창하고 있습니다.  • 경제적 부담: 사교육 비용이 높아 영어 교육의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4. 기타 문제점: • 영어 교수의 전문성 부족: 영어 교사의 전문성 부족 문제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 교육 과정의 비효율성: 교육 과정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변화가 느려 학습 효과를 떨어뜨립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 과정 개선, 교수법 혁신, 그리고 영어 사용 환경 조성 등이 필요합니다. 특히 실생활과 연계된 영어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영어 사용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요? 부디 성공하는 국민주권정부가 되길 염원합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