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경 및 문제 인식
원자력은 24시간 안정적 기저전원으로, 야간에는 전력 과잉 가능
잉여전력은 신재생과 비교하면 활용 방법이 부족하며, ESS 연계 필요
KHNP는 핑크수소 실증사업으로 실증 중이나 범국가적 연계 시스템은 미흡한 걸로 알고 있음
2. 정책 목표
야간 잉여전력을 활용한 수소 생산 → 저장 → 재발전 시스템 구축
에너지 효율 증대, 탄소중립 및 수소경제 활성화
전력 수급 안정, ESS 기반 인프라 확대
3. 핵심 정책 내용
전략 주요 내용
설비 구축 원전 인근 또는 부지 활용 저온 전기분해 수소 생산설비 설치
저장 기술 도입 LOHC, 압축/액화형 수소 탱크 등 효율적 수소 저장방식 적용
재전력화 시스템 (수소연료)발전소와 연계한 통합 운영
통합 운영 플랫폼 전력–수소 계통을 스마트그리드 수준으로 통합, 실시간 수요-공급 연계
제도 및 제도 개선 관련 법(에너지법, 수소법) 개정, 세제·재정 인센티브 부여
R&D, 시범사업 여러 원전(예: 울진, 한울 등) 부지 시범사업 추진, 경제성·안전성 평가
4. 기대 효과
잉여전력 활용으로 전력 수요-공급 균형 개선
수소 생산과 저장으로 탄소중립 및 수소경제 기반 조성
한국의 핵심 에너지 통합 기술 국산화 및 수출경쟁력 강화
재생-원전-수소 탄소중립 종합 에너지 믹스 확립
5. 결론
이 정책은 기존 원전 인프라를 활용하고, 에너지 효율-탄소중립-수소경제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전략입니다.
KHNP의 핑크수소 실증사업이 좋은 출발점이며 이를 확장·스케일업하는 정책 설계 필요
6. 한국수력원자력(KHNP)의 실증사례
항목 내용
핑크수소란? (울주)원자력 전력으로 물 전기분해 생산한 청정 수소
장점 탄소중립, 원자력 잉여전력 활용, 경제성 가능
KHNP 실증내용 10 MW 규모 설비, 하루 4톤 수소 생산 목표
사업 기간 ~2028년 구축 및 시범운영 예정
확산 계획 유럽 등 글로벌 시장 진출 추진 중
공통점
원자력의 잉여전력 또는 열을 활용해 수소를 생산
생산된 수소를 저장(ESS화)하여 필요 시 전력 등으로 재활용
탄소중립, 수소경제 활성화, 에너지 효율성 향상이라는 목표
차이점
항목 현재 실증사업 정책 제안
범위 1개 원전 부지 중심 (울주 10MW급) 전국 원전으로 확대 + 에너지계통 연계
활용성 수소 생산 후 활용 방향은 일부 불확실 수소 → 재발전 → 피크 시간대 전력 보완 목적 명확
운영 방식 KHNP 중심 실증, 상업화는 미정 정부 주도 국가 기반 에너지 전략으로 제도화 제안
계통 통합 단일 부지 중심 스마트 그리드와 연계한 전력–수소 통합 시스템
전략 포커스 생산기술 실증 및 경제성 평가 전력 수급 안정·재생 연계 에너지 믹스 실현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