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포털 및 인터넷 뉴스의 댓글 서비스가 사라지길 바랍니다.

인터넷을 비롯한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의 유통과 소통은 이제 막을 수 없는 시대적 흐름입니다. 그러나 많은 이들이 이미 체감하고 있듯, 주요 포털사이트와 소셜 플랫폼들은 상업적 목적에 따라 이용자 간의 갈등과 불안을 조장함으로써 이익을 얻고 있습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뉴스는 포털을 통해 전달되며, 그 과정에서 본문과 무관하게 자극적인 제목이 붙거나, 왜곡된 댓글과 여론 조작이 일상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뉴스를 더 이상 공적인 정보 전달의 수단이 아니라, 커뮤니티의 가십거리 수준으로 전락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더 심각한 문제는, 그러한 뉴스에 달리는 댓글들이 사람들의 감정을 자극하고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유발한다는 점입니다. 나아가 일부 악의적인 집단에게는 이 댓글 공간이 여론을 조작하거나 타인을 공격하며 놀잇감을 삼는 도구로 악용되고 있습니다. [질문 1] 뉴스에 댓글이 필요합니까? 이는 누구를 위한 것이며, 누구와의 대화입니까? 뉴스에 댓글이 필요하냐는 질문은 단순한 기능적 필요성보다, 뉴스의 본질적 목적과 대중의 참여가 어떤 방식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지를 되돌아보게 합니다. 이론적으로 댓글은 독자의 다양한 시각을 나눌 수 있는 열린 공간이며, 언론에 대한 피드백 창구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댓글 문화는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보다, 정제되지 않은 감정 표현, 혐오 발언, 여론 왜곡 등의 문제로 오히려 사회적 갈등을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결국 지금의 댓글은 ‘대화’라기보다는 ‘투사’에 가깝습니다. 특정 집단의 정서적 해소 창구로 변질되었으며, 누구를 위한 것인지조차 모호한 상황입니다. [질문 2] 뉴스 댓글 서비스의 효과가 긍정적이라 봅니까? 현 시점에서는 뉴스 댓글 서비스가 가져오는 긍정적 효과보다 부정적 파급력이 더 크다고 판단됩니다. 건설적이고 사실에 근거한 토론보다는, 감정적인 비난과 혐오가 더 큰 목소리를 내고 있고, 이는 사회 전반의 신뢰와 공동체 의식을 약화시키고 있습니다. 물론 기술적·사회적 장치가 잘 마련된다면 댓글이 건전한 여론 형성에 기여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시스템은 플랫폼이 수익을 위해 자극적인 반응을 유도하고, 그 결과 사회적 혼란을 방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해 보입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