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안 개요
정책명: 순환형 지역화폐 제도 구축 방안
핵심 목표: 기존의 1회성 소비 유도형 지역화폐 구조에서 벗어나, 지역 내에서 다회차 순환 사용이 가능한 지역화폐 생태계 구축
2. 문제점 인식
현재 대부분 지역화폐는 1회 사용 후 회수 또는 정산됨
소비 유도 효과는 있으나 지역 내 경제 선순환 구조 형성에는 한계
사용처 한정으로 인해 지역 자영업자의 지속 수익 창출 연결 미흡
3. 제도 설계 방향
1) 순환형 지역화폐 운영 체계
지역화폐를 사용하는 모든 점포는 해당 화폐를 다시 다른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
예: 음식점 A → 세탁소 B → 병원 C → 도소매점 D로 순환 사용 가능
2) 지역화폐 이력 추적 및 순환지표 시스템 구축
화폐가 몇 차례 사용되었는지, 어떤 업종군에 순환되었는지를 지표화
순환율이 높은 지역 또는 업종에 인센티브 제공 (예: 세액 감면, 화폐 환급률 증가)
3) 민간가맹점 확장 및 업종 연계 강화
프랜차이즈, 병원, 교육기관, 문화시설 등 비전형 업종의 참여 확대
다양한 업종 간 연결고리를 형성하여 순환 가능성 확대
4) 플랫폼 기반 화폐 운영
QR 또는 앱 기반 지역화폐 시스템 도입으로 실시간 결제 및 이력 관리
정산이 아닌 "전자화폐"로 전환하여 반복 사용 유도
플랫폼 상에서 순환 우수 가맹점 추천 및 연계지도 제공
4. 기대 효과
지역 내 다회차 화폐 유통 구조를 통해 자금의 외부 유출 최소화
자영업자 간 연결로 협업 기반 지역 경제 생태계 조성
순환율 높은 지역의 경제 활력 강화 및 소득 증대 효과
지역화폐에 대한 신뢰도 및 수용성 향상
5. 추진 방식
기존 지자체 지역화폐 플랫폼과 연계한 시스템 업데이트 추진
순환형 참여 가맹점 인증제 및 데이터 기반 평가 도입
시범지역 설정 후 1년 내 순환율 지표 공개 및 정책화 검토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