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치매에 관한 정부의 대책은 치매환자가 발생하였을때에 대한 대책과 막대한 예산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가 아는 이에게 들은 것을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지인의 장인장모가 약 70세경에 치매약이 비싸서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치매 진단을 받아 일명 치매약(치매를 늦추는 약)을 처방받아 저렴하게 복용하여 현재 90세가 넘었음에도 치매가 없다고 하십니다.
한 경우이고, 정상적인 방법은 아니었음에도 약의 효능을 입증한 셈이니
이를 정책에 반영하여
정부에서는 치매진단을 통해 등급을 메기고 이에 따라 치매약(치매를 늦추는 약)을 처방 받을 수 있도록 할 것이 아니라
약 70세부터 치매약을 저렴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건강보험 등을 적용하여 약값을 내리면 많은 이들이 치매약을 복용하여 치매를 미리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치매약을 복용하고 싶어하는 정상인 노인분들이 우리 주위에 많이 있습니다.
사후대책 보다는 사전 대책을 위해 정부에서 노력하여 주셨으면 합니다.
치매로 인한 사회적인 많은 비용과 정부의 예산 절감 등에도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 됩니다.
세부적이고 전문적인 부분은 저 보다는 정부에서 전문가분들을 동원하여 대책을 마련하였으면 합니다.
황당한 제안 같지만 이 시대에 꼭 필요한 제안 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