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제안 내용
안녕하세요 현재 우리나라는 삼면이 다 바다라고 할정도로 바다에 둘러 싸여 있습니다. 하지만 바다산업은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습니다. 바다산업을 키우고 육성하여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시기입니다. 그리고 값싸게 바다 스포츠를 즐길때입니다.
정책제안
1. 국가 주도 해양레저 허브 구축
전국 주요 항구 및 해양도시(예: 여수, 통영, 마산,진해,군산, 부산,강릉, 제주, 울진 등)에 국가 해양레저단지 조성
요트, 제트스키, 바다카약, 바다 패러세일링 등 다양한 해양 액티비티 체험 가능
국가가 저가로 운영하거나 청년 창업에 임대
2. 청년 및 지역주민 중심의 해양레저 일자리 창출
해양레저 가이드, 안전관리요원, 운전교육 강사, 장비 정비사, 마케팅 인력 등 채용
해양레저 관련 자격증 교육과정 국가 지원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으로 지역 주민 주도 운영 가능
3. 지자체–민간 협력 모델 도입
민간기업과 지자체가 공동 투자하여 수익형 해양관광시설 운영
바닷가 폐창고, 유휴부지를 리모델링해 해양레저센터, 캠핑장, 숙소 등으로 활용
4. 외국인 관광객 대상 체험 관광 패키지 개발
‘K-해양스포츠’ 브랜드화 → 제주·부산·동해 등을 중심으로 한 관광코스 개발
한류+해양 결합(예: 바다 위에서 K-pop 요트파티, 서핑과 K-food 체험)
5. 친환경 중심 개발
전기 기반의 수상 오토바이(Seabob, 전기제트스키 등) 개발 및 대여 서비스
바다 쓰레기 수거와 결합된 해양봉사+체험 패키지 개발 → ESG 콘텐츠로 활용
해외 사례 참고:
국가 정책 및 사례 시사점
프랑스 니스 해안 마리나 및 해양스포츠 단지 민관협력으로 고급 해양관광 유치, 일자리 수천 개 창출
포르투갈 서핑 산업 활성화 청년 창업과 외국인 관광객 증가 → 도시 재생 성공
호주 골드코스트 해양레저 프로그램 지역민 참여 유도, 수상안전 자격증 교육으로 직업군 확대 일본 에히메현 요트학교+수산체험 고령화 농어촌의 새로운 산업 전환 사례
스웨덴 친환경 전기 수상스쿠터(해양 공유모빌리티) 탄소중립+관광 산업 접목으로 차세대 해양 교통 수단 실험
대한민국에 적용 시 장점
해양도시 일자리 확대 (청년 귀어·귀촌 유도에도 도움)
관광객 유치 + 지역경제 활성화
국가 이미지 향상 (K-해양문화 브랜드화)
기후위기 대응과 해양환경보호 연계
중장기적으로 수산업 대체 산업으로도 발전 가능
마지막으로 남기는 말
바다를 끼고 있는 대한민국은 더 이상 해양자원을 관광·레저에 소극적으로 활용해서는 안 됩니다. 청년과 고령층,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국가 주도 해양레저 인프라 구축 및 일자리 창출이 시급합니다. 외국처럼 친환경 해양모빌리티, 공공요트학교, 바다체험관광 등을 확대하여 새로운 해양경제를 열어야 합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