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글로벌 코리아 드림 프로젝트: 해외취업·창업 전방위 지원 및 한국 브랜드 확산 정책」

안녕하세요 현재 우리나라는 월드잡이란 사이트 있지만 여전히 정보면에서는 부족합니다. 해외에 취업하고 싶어도 방법몰라서 지원 못하는 국민들도 많고 더 많은 국민들이 해외에 나가서 창업하고 취업하면 좋겠습니다. 각국가들이랑 정보교류해서 취업정보가 알려줬으면 좋겠습니다. 정책 제안 내용: 1. 해외 취업 연계 플랫폼 'K-Global Jobs' 구축 기존 ‘월드잡플러스’ 한계를 보완하여 국가가 외교부·노동부·산업부가 협력한 통합형 플랫폼 운영 현지 일자리 수요 실시간 제공, 취업비자·숙소·노동법 등 안내, 사기 피해 방지 위한 정부 인증 고용처 등록제도 도입 국가별 특화 일자리(IT·간호·요리·관광 등) 정보 분류 제공 2. 해외 취업 국비 영어집중과정 운영 연 2회, 6개월~1년 집중과정 ‘해외진출 사관학교’ 운영 영어/일본어/베트남어/독일어 등 국가별 주요어 중심 집중과정 수료조건 강화 → 출결 미달·학습 태만 시 퇴출, 취업·창업 매칭 완료시 수료증 발급 3. 한국형 프랜차이즈 글로벌 진출 지원 **한류 기반 프랜차이즈(카페·치킨·K푸드·헬스·뷰티 등)**의 해외 가맹점 창업비 지원 청년이 1인 창업주가 되어 현지에서 직접 운영할 수 있게 하고, 국가-프랜차이즈 본사-청년 삼자 협약으로 수익 구조 확보 K-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현지 마케팅·현지 법률·세무지원까지 함께 제공 4. 해외창업+거주 정착 종합 패키지 창업 자격 충족 시 해외 창업비 지원 + 거주비 일부 지원 + 초기 6개월 정착 지원금 현지 한인상공회의소·KOTRA·대한무역진흥공사 등과 연계하여 멘토링 및 파트너 연결 한국식 카페, 뷰티숍, 체육관, 편의점 등 창업 우대 업종 가이드 제시 5. 한류문화 홍보 + 일자리 확산 연계 K-pop, K-콘텐츠, K-뷰티, K-푸드 등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한류타운 시범 조성 현지 대학과 연계한 한류문화 교류센터 및 한국식 직업훈련소 운영 한국의 고급 기술인력(미용, 요리, 제과, 디지털 콘텐츠 등) 파견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주요 타겟 국가 지역 특징 및 전략 🇺🇸 미국, 🇨🇦 캐나다 이민친화국, IT·간호·요리 수요 많음 🇦🇺 호주, 🇳🇿 뉴질랜드 워킹홀리데이+숙련기술이민 연계 🇩🇪 독일 한국 간호인력 수요 증가, 현지 연계교육 시급 🇻🇳 베트남, 🇮🇩 인도네시아 K-브랜드 진출 용이, 창업시장 활발 🇦🇪 UAE, 🇸🇦 사우디 고임금 인력 수요, K-뷰티·건설·의료 진출 유망 🇯🇵 일본 가까운 거리, 고령화로 인력난 심각 정책 기대 효과: 국내 취업난 해소 및 인력 과잉 해소됩니다. 한류문화 확산과 국가 브랜드 가치 제고 외화 유입 및 한민족 글로벌 네트워크가 강화됩니다. 청년·중장년의 창업기회 확대 + 자존감 회복이 됩니다. 한국형 비즈니스 모델의 전세계화 촉진 마지막으로 남기는 말 현재 해외취업과 창업에 대한 한국 청년들과 국민의 열망은 크지만 제도적 한계로 인해 현실적 접근은 매우 어렵습니다. ‘월드잡’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정부가 전면에 나서서 글로벌 일자리와 프랜차이즈 창업을 적극 지원하고, 국가 차원의 플랫폼을 통해 영어 집중교육 → 취업/창업 매칭 → 정착지원까지 통합적으로 추진해주십시오. ‘글로벌 코리아 드림 프로젝트’를 통해 대한민국 청년의 꿈이 전세계로 뻗어갈 수 있도록 해주십시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