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본 방향 및 배경
대한민국의 국가 경쟁력 제고와 기초과학 발전, 첨단기술 육성을 위해서는 세계적 권위의 수상 경력을 가진 석학과 연구자를 배출하는 것이 중요함
노벨상(노벨 물리학·화학·의학·평화·경제학상), 필즈상(수학), 아벨상(수학), 튜링상(컴퓨터과학), 프리츠커상(건축) 수상을 국가 목표로 설정하여 이를 뒷받침할 체계적 지원책 마련 필요
전통문화의 현대적 재해석과 독창적 건축가 양성으로 글로벌 건축 문화 선도
2) 전문 인력 양성 및 연구 지원
기초과학, 수학, 컴퓨터과학, 건축 분야의 인재 조기 발굴 및 집중 육성 프로그램 확대
대학과 연구기관에 대한 대규모 연구비 지원과 첨단 연구 인프라 구축
국제 수준의 연구 환경 조성 및 해외 우수 연구자 영입 활성화
학제 간 융복합 연구 지원과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구축
3) 세계 선도 대학 및 연구기관 육성
세계적 수준의 대학원, 연구소 설립 및 운영을 위한 특별 법·재정 지원
연구자 자율성 보장과 성과 기반 연구 평가 시스템 도입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및 혁신형 연구 거점 조성
우수 석학 및 연구팀 유치, 국제 공동연구 확대
4) 한국 전통 재해석 및 독창적 건축가 육성
한국 전통 건축의 미학·기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연구 프로젝트 및 교육 과정 개발
독창적이고 세계적 경쟁력을 가진 건축가 육성 위한 장학금 및 창작 지원 확대
국내외 건축 콩쿠르, 전시, 학술 행사 지원으로 글로벌 인지도 제고
친환경, 지속가능한 건축 기술 연구 및 적용 촉진
5) 추가적으로 국제적으로 저명한 수상 목록 및 분야
국제물리학상 (International Prize for Physics, Fundamental Physics Prize)
국제화학상 (Royal Society of Chemistry Prizes)
브레이크스루상 (Breakthrough Prize, 물리학·수학·생명과학)
맨부커상 (Man Booker Prize, 문학 분야)
오스카상 (Academy Awards, 영화 및 영상 분야)
그래미상 (Grammy Awards, 음악 분야)
국제인공지능학회상 (IJCAI Award for Research Excellence)
세계건축상 (World Architecture Festival Awards)
인력양성 로드맵 및 세부 추진과제
1. 비전
세계적 수준의 석학과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대한민국이 기초과학과 첨단기술, 예술·건축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가 되는 것
2. 단계별 인력양성 로드맵
단계 기간 주요 내용 목표 인력군
1단계: 조기 발굴 및 기초 교육 강화 1~3년 - 초·중·고등학생 대상 과학·수학·컴퓨터·예술 영재 프로그램 확대
-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 교육 강화
- 전국 단위 영재교육 지원 및 장학사업 확대 초·중·고 영재 및 우수 학생
2단계: 대학 및 대학원 전문인력 집중 육성 3~7년 - 세계적 수준의 대학원 특성화 및 연구 인프라 구축
- 장학금·연구비 지원 확대
- 산학연 연계 연구 및 국제 공동연구 활성화
- 해외 유수대학과 교류 프로그램 확대 석·박사급 연구인력 및 예술가 지망생
3단계: 세계적 석학 및 연구 리더 배출 7년 이상 - 세계적 연구기관 및 연구센터 설립 및 운영
- 석학 유치 및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구축
- 대규모 연구 과제 및 혁신 프로젝트 수행
- 수상 도전 및 국제 컨퍼런스 주최 지원 세계적 연구자 및 창작자
3. 세부 추진과제
3.1 조기 발굴 및 기초 교육 강화
전국 영재교육센터 확대 및 특성화
창의·융합형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과학·기술·예술 분야 경시대회 및 캠프 정례화
디지털 교육 인프라 확충 및 온라인 교육 플랫폼 구축
3.2 대학·대학원 연구 역량 강화
우수 인재 장학금·연구비 지원 확대 및 맞춤형 멘토링 프로그램 시행
연구 중심 대학원 및 첨단 연구소 설립 지원
산학연 협력 프로젝트 및 창업 지원 강화
해외 유수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 및 교환학생 프로그램 활성화
국제 저명 학술지 및 수상 도전 지원체계 마련
3.3 석학 및 연구 리더 육성
국가 석학 펠로우십 프로그램 신설 및 운영
글로벌 연구센터(예: 수학, 양자컴퓨터, AI, 건축 혁신 센터) 설립 및 운영
대형 연구비 지원 및 첨단 연구장비 투자
해외 유능 연구자 유치 및 귀국 연구자 지원 정책 강화
국제 컨퍼런스·워크숍 개최 및 국내외 네트워킹 지원
3.4 건축 및 예술 분야 독창성 강화
한국 전통 건축 및 디자인 연구와 현대적 융합 프로젝트 추진
젊은 건축가·예술가 대상 창작 지원금 및 국제 교류 프로그램 확대
국내외 건축 공모전 및 전시 지원 확대
친환경·지속가능 건축 연구 및 기술 개발 지원
3.5 수상 도전 지원 및 국제 홍보
국내 연구자·예술가 대상 국제 수상 정보 제공 및 전략 컨설팅
수상 후보자 집중 지원 프로그램 운영(연구비, PR, 멘토링)
국내외 미디어 및 학계와 협력한 홍보 캠페인 추진
수상 경력 활용한 차세대 인재 유치 및 육성 연계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