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초등교사 양성과정 및 임용 방법을 손볼 때가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흔히 교육대학교에서 초등교사를 전문성 있게 길러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상식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교육대학교에서 별 내용을 가르치지 않고, 전문성도 길러주지 않았는데 현장 학교에서 이 정도의 수준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이 놀라울 정도입니다. 대부분의 초등교사는 교육대학교를 통하여 배출되고 있는데, 일단, 교육대학교는 단과대 규모이고 지방에 위치하여 재대로된 교양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이후에 받는 초등교육과 관련한 내용이 실제적, 전문적이지 않아서 학교에 나와 1인분 역할을 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초등교육 커뮤니티에 들어가면, 저년차 교사들이 학급 운영, 학생 생활지도, 학부모와 소통 등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데, 이는 교사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이러한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때 어디에 도움을 요청해야 하는지 이러한 것들을 배우지 못한 채 자격증을 받고 임용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초등교사 자격증은 시험을 쳐서 받지 않고, 그냥 교육대학교를 4년 잘 다니면 줍니다. 무시험 자격증입니다. 그리고 임용경쟁시험을 통하여 임용되는데, 이 시험은 과락 점수가 있는 경쟁시험인데 과락 점수가 매우 낮기 때문에 이 시험에 통과한다고 해서 일정 수준 이상의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없습니다. 지금의 교원양성, 임용 시스템은 일정 수준 이상의 능력을 지닌 교사를 길러내는 것에 목표가 있는 것이 아니라, 매년 교사를 양성, 수급하여 교사의 수를 조정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초등교사의 경우, 한 교사가 2~3과목을 제외한 모든 과목을 지도하고, 한 교실에서 학생들과 생활해야 하고, 학생들의 나이가 어려서 학부모와 소통하며 교육해야 하는데, 학급운영, 생활지도, 학부모와 소통 등의 능력은 이론적으로 배운다고 소상히 배울 수 없기 때문에 실습을 병행하여 이론과 실제를 함께 하게 하는데, 실습 또한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임용 시험 중에서 교육과정과 관련한 필기 시험 문제는 기이하기 짝이 없는데, 심지어 자신의 교육대학교에서 배운 내용으로 임용경쟁시험에 붙기 어려워서, 사교육에 의존하여 시험 준비를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몇 십년 동안 이러한 상태로 있고, 앞으로도 계속 이렇게 지낼 수는 없는 일입니다. 비전문적이고, 무책임하고, 비효율적이고, 사교육을 유발하는 초등교사 양성과정 및 임용 방법을 손볼 때가 되었습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