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도심 내 세대통합 생활문화공간 조성 제안서
(AI의 도움을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 구도심 내에 무더위쉼터를 겸한
노인생활체육센터 및 어린이 실내놀이터 구축 –
1. 제안 배경
구도심 지역은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 노후화된 생활 인프라, 아동 및 노년층의 여가활동 공간 부족 등의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시에서는 버스도 다니지 않는 도시의 외곽에 체육시설이나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을 건축하고 있습니다. 70대 이상 교통약자 어르신들이 접근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도시외곽에는 신축아파트들이 지어져 아파트 내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지만 구도심은 낡고 오래된 아파트와 빌라만 있어, 노인생활체육시설, 무더위쉼터, 실내놀이터가 부족하다고 생각됩니다.
(구축아파트는 놀이터를 없애고 주차장으로 만듦)
봄, 가을 날씨가 좋을 때, 동네 도서관공원에서 이웃과 교류하시고 산책하고 운동하시던 어르신들이 무더운 여름, 추운 겨울에는 집에만 계셔야하는가, 사용하지 않는 도서관 지하공간을 활용할 수 없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제안서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더불어 젊은 부부들이 도시외곽 신축에 거주하여, 구도심에 사는 어린이들이 적어지고 그들이 누릴 수 있는 환경도 신도시의 환경에 비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활기차게 뛰고 놀아야하는 어린이들에게는 기상변화로 너무 더운 여름날에는 안전한 실내놀이터 공간이 필요할 것입니다.
공원에 아기를 데리고 산책하면 반갑게 미소 지으시는 어르신들을 보면서 구도심 안에서 노인과 어린이가 함께 사는 동네라면 세대가 소통할 수 있고 그로 인한 사회적 시너지가 있겠다는 생각에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구도심 내 세대통합 생활문화공간 조성을 제안 드립니다.
---
2. 사업 개요
항목 내용
사업명 : 구도심 세대통합 생활문화공간 조성 사업
위 치 : 구도심 내, 도서관 증축 및 유휴부지 또는 공공기관 리모델링
사업유형 공공복합시설 신축 또는 리모델링
주요시설 노인생활체육센터, 어린이 실내놀이터, 공유 커뮤니티실, 세대 통합 교류 공간
---
3. 시설 구성안
가. 노인생활체육센터
실내 운동실 (에어로빅, 요가, 실버밸런스 운동 등)
기초 건강관리실 (혈압·혈당 체크, 상담 등)
스마트 운동기구 도입 (IoT 연동 헬스기기)
노인 맞춤형 프로그램 (치매예방 운동, 라인댄스, 실버태극권 등)
휴게·커뮤니티 공간 (작은 도서관, 담소공간)
나. 어린이 실내놀이터
실내 모험형 놀이시설 (클라이밍, 정글짐, 트램펄린 등)
창의놀이 존 (블록, 모래놀이, 역할놀이)
유아 전용 구역 (영아 놀이존, 수유실, 기저귀 교환대)
안전 전담 인력 및 CCTV 설치
부모 대기공간 및 육아정보 커뮤니티실
다. 세대 통합 및 공유공간
다목적 강의실 및 커뮤니티실
---
4. 기대 효과
① 주민 복지 증진
고령자의 건강 증진 및 사회참여 활성화
어린이의 안전한 놀이환경 제공 및 육아 부담 경감
② 세대 간 교류 증진
노인과 아동이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세대 통합 프로그램 운영
지역 공동체 회복 및 정주 만족도 향상
③ 구도심 재생 효과
유휴 공간의 활용 및 생활 인프라 개선
방문자 증가로 인한 상권 활성화와 지역 이미지 개선
---
5. 결론 및 제언
노년층과 아동은 모두 도시의 돌봄이 필요한 구성원입니다. 구도심에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복합 공간을 조성하는 일은 단순한 시설 확충을 넘어 도시의 균형 회복과 공동체 재구성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합니다. 본 제안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실행계획이 수립되기를 바랍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