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시니어 코칭” 정책 제안서 영시니어 코치, 제2의 인생개막을 디자인하다! – 초고령사회를 바꾸는 성장과 기여의 전환점-

제안기관: 한국코치협회 | 이정윤 이사 (사)한국코치협회는 2003년에 설립된 비영리기관으로 국내 최초의 코칭 전문기관입니다. 협회는 개인의 성장과 조직의 성과 향상에 기여해 왔으며,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혁신적 코칭 모델을 개발하고,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다양한 정책 제안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본 제안서는 노인의 주체적 삶과 사회적 연대 강화를 위한 코칭 기반 정책을 제시합니다. 1. 제목 “영시니어 코치(Young Senior Coach) 양성으로 여는 제2의 인생과 지속가능한 사회” – 건강한 시니어가 코치로서 성장하여,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는 새로운 미래 2. 목적 - 한국은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며 고령층의 정서적 건강과 사회적 고립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 - 기존의 돌봄 중심 복지 모델로는 대응에 한계 - 건강하고 역량 있는 ‘영시니어’의 사회적 참여가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될 수 있음 - 본 정책은 영시니어가 전문 코치로 성장하여 시니어또래 및 공동체와 함께 성장하는구조를 마련하고자 함 3. 코칭의 정의 - 과거가 아닌 미래를 지향하며, 개인의 잠재력과 강점을 기반으로 함 - 내면의 성장과 변화를 이끌고, 자기탐색과 정체성 확립을 돕는 과정 - 공동체 의식을 성숙하게 하고, 긍정적 사명의식을 자극함 - 시니어 코칭은 복지 수혜자를 공동체 기여자로 전환시키는 핵심 역할을 수행함 4. 추진 배경 - 2025년,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 초과 → 초고령사회 진입 - 수동적 돌봄 위주의 기존 복지 모델의 한계 - 사회 기여 욕구를 가진 활동 가능한 ‘신중년’의 증가 → ‘자기 주도성’과 ‘공감능력’을 바탕으로 한 시니어 코칭이 대안 -노인의 심리·정서적 고립 심화 (상실감, 외로움, 우울감 등) 5. 실행 방안 ① 시범사업 운영 - 보건복지부 및 지자체 협력 - 시니어코칭(Senior Coaching) 3개월 그룹 코칭 + 1:1 코칭 병행 - 정서 회복, 미래설계, 사회 소속감 증진 중심 ② 전문인력 양성 (한국코치협회 인증) - 영시니어 대상 특화 코칭 교육과정 운영 - 실습 중심 커리큘럼 + “시니어 전문코치” 자격 제도 ③ 정책 제도화 - 고령친화정책에 코칭 항목 명시 - 관련 예산 확보 및 지자체 도입 확산 ④ 사회적 인식 확산 - 우수 사례집 발간 및 미디어 콘텐츠 제작 - 대국민 캠페인을 통한 코칭의 긍정 이미지 강화 6. 기대 효과 ✅ 개인 차원 - 자기탐색과 강점 발견 → 자존감과 삶의 만족도 향상 - 잠재력 개발 → 미래설계 및 시니어코치로서 경제활동 참여 확대 - 정서적 안정 → 우울감 감소 및 건강 증진 ✅ 사회 차원 - 복지 수혜자에서 공동체 리더로 전환 - 자조 커뮤니티 기반 형성 및 지속가능성 강화 - 세대 간 소통 확대 → 사회적 연대성 향상 ✅ 국가 차원 - 복지비용 절감 및 효율성 제고 - 고령 인구의 생산적 활동 증가 → 국가경쟁력 강화 - K-시니어 코칭 모델의 글로벌 확산 가능성 7. 결론 ‘시니어 코칭’은 정서적 지원을 넘어 초고령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입니다. 영시니어가 코치로 성장함으로써 자율성과 공동체성을 회복하고, 사회 전체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제는 정부, 지자체, 민간이 협력하여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제도화하는 실천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