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재외국민 전용 선거구」 신설을 위한 정책 제안서입니다.

제안 배경 재외국민 투표 제도 현황 2009년부터 도입된 재외선거제도는 헌법상 보장된 참정권 확장을 위한 제도로, 대통령 선거 및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러나 현재는 거주했던 국내 지역구에 묶여 투표하게 되어 있어, 해외에서의 삶과 거리가 있는 지역대표에게 표를 던지게 되는 구조입니다. 급증하는 재외국민 유권자 수 최근 2025년 대선 재외투표자 수는 약 258,254명으로, 2022년보다 14.2% 증가했으며, 실제 총 재외국민 수는 수백만 명에 달하지만 여전히 투표 접근성 등의 문제로 참여율이 낮습니다. 국제적 추세: 재외국민 선거구 도입 사례 튀니지·터키·북마케도니아 등 여러 국가에서 재외국민을 위한 별도 선거구 혹은 해외대표제가 운영 중이며, 이는 재외국민의 정치 참여를 적극적으로 보장하려는 선례가 됩니다.  제안 내용 항목 내용 목표 재외국민의 정치적 목소리를 직접 반영할 수 있는 독립된 지역구(선거구) 신설 적용 범위 대통령·국회의원(지역구)·지방선거 등 주요 선거 구조 재외국민 총선거구 1~N곳 설치 (예: 대륙별, 지역별 분할) 재외유권자들이 본인의 해외 거주지 기준으로 해당 선거구에서 투표 선출된 대표는 국회 및 지방의회에 재외국민 전용 의원(대리인) 형태로 참여 | | 선거 방식 | 현행 직접투표 방식 유지 + 우편·전자투표 병행 고려 | | 기능 | - 해외 생활 관련 정책 (복지, 교육, 영사 지원 등) 제도적 반영 국내에선 알려지지 않는 재외국민의 경험, 요구 반영 |  기대 효과 정치 대표성 강화 해외 생활을 바탕으로 한 유권자와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대표가 확보됨 정책 수립의 다양성 확대 재외국민 대상 정책이 담당할 수 있는 체계적 창구가 마련됨 참여율 및 투표 접근성 증대 지역구명이 아닌, 재외민 전용구 조성으로 참정권 실질적 확대 국제적 민주주의 기준 부합 선진국 및 여러 국가의 해외 선거구 신설 추세에 부응  실행 과제 및 고려 사항 법 개정 공직선거법 및 선거구법에 ‘재외국민 선거구’ 신설 중앙선관위 조례 및 지침 개편 기술적 시스템 구축 재외국민 등록·투표·신분확인 시스템 개발 우편·전자투표의 보안 강화 재정 소요 별도 선거구 운영비, 인력, 투표 인프라 확보 민주주의 고려 재외국민 대표 인원수·발언권 정립 국제법 및 외교 협의 현지 국가와의 외국 공관 활용 협의 정보보안, 개인정보 보호 대비책 📝 제안 마무리 재외국민이 단순히 국내 지역구에 묶여 투표하는 현실을 넘어, 재외민만을 위한 선거구를 신설함으로써 참정권의 진정한 확장과 정치적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는 헌법상 국민주권의 원칙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대 대한민국 시민 모두의 목소리를 존중하는 정책이 될 것입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