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탄소저감을 위해 전기차 제도및 인센티브를 개선해 주세요.

최근 전기차 포비아가 퍼지면서 전기차에 대한 인식과 혜택이 퇴행하면서 수요가 많이 줄었습니다. 게다가 전기차 충전사업자는 이상한 요금체계로 전기차 연료비가 많이 올라 전기차 포비아가 더욱 심해지고 있습니다. 윤 정권은 전기차 충전요금 동결 공약을 선거 공약을 내세웠지만 업체들의 요금 인상을 묵인하면서 300원 초반대 급속요금이 최근 400원 중반대로 일제히 오릅니다. 게다가 자사 회원이 회원카드로 충전시 430원/kWh 으로 충전하게 됩니다. 그런데 환경부 충전 카드로 일렉링크 충전기에서 충전하는 경우 348원/kWh 으로 충전할 수 있습니다. 회원 우대 정책이 아니라 회원 홀대 정책입니다. 이런 현상이 발생한 이유는 매월 구독요금을 내면 30~50% 할인해 주는 정책으로 단가가 떨어지자 그 손해를 만회하기 위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환경부의 충전 사업을 더욱 확대해서 민간 사업자의 가파른 요금 인상을 억제하고 요금을 과다하게 올린 부분은 없는지 조사가 필요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급속충전 뿐만 아니라 완속 충전의 경우도 180~200원에서 240원으로 그 이후 290원/kWh 로 인상하게 되어 완속 충전시 생기는 AC to DC 손실까지 포함하면 완속 충전의 금액적 이점이 사라졌습니다. 게다가 한전은 시간대별로 차등요금제를 시행하여 밤시간대 저렴하게 충전할 수 있던 부분도 24시간 동일 단가체계로 바꿔버려서 굳이 심야 시간에 충전해야 할 이유를 없애 버렸습니다. 올해부터 전기차 통행료 할인이 40%로 축소되었고 매년 10%씩 줄여나간다고 합니다. 전기차 충전을 위해서 고속도로 외부로 나가야 하는 경우도 있고 전기차 확대보급을 위해서라도 종전 할인율을 당분간 유지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국정기획위원회의 답변

국정기획위원회에서 답변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모두의 광장’에 방문하여 소중한 의견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우선, 귀하께서 제안해 주신 내용에 대해 소관 부처인 환경부에서 검토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알려드립니다. “환경부는 공공충전요금을 2022년부터 인상 없이 유지하고, 보조사업 수행기관 선정시 충전요금을 평가항목에 반영하는 등 충전요금 인상이 최소화되도록 유인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충전요금 부담이 생기지 않도록 공공충전기 보급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다만, 민간사업자의 경우 충전기 설치 투자비용, 충전기 이용률, 부지 소유자와의 계약 관계, 전기요금·인건비 상승 등 시장 상황에 따라 충전요금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환경부에서 민간사업자의 충전요금을 강제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향후, 환경부 공공충전요금을 유지하면서, 민간 충전요금이 과도하게 인상되지 않도록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사업자와 긴밀히 소통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귀하가 제안하신 내용은 국정기획위원회 내 소관 분과위에 통보하여, 국정과제 혹은 소관 부처 정책 반영 여부를 검토할 예정임을 알려드립니다. 다시 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