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제안 배경 및 필요성
1) 기후위기 대응과 2050 탄소중립 실현은 우리 미래를 위해 반드시 이룩해야 할 과제입니다.
2) 기존 신재생에너지 확대는 매우 중요하지만 Ai 데이터센타 등 증가하는 전력수요 상황은
현재 탄소저감 수단만으로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한계가 있습니다.
3) 현재 공공기관 탄소저감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은 일부(태양광 등)만 수집이 가능하고, 그 외 부분에 대한 데이터
수집은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나. 전력의 효율적 사용이란?
1) 현재 생산 전력에 대해 소비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전력절감 기술을 적용해 전체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2) 전력절감기 기술 도입에 따른 전체 전력 사용량 감소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합니다.
다. 제안 내용
1) 목표: 단기간 내 실질적 탄소저감 실현 및 정책 기반 마련.
2) 주요 내용:
(1) 공공기관 전력절감기 도입으로 전체 소비전력 절감 실현.
(입력단 소비전력 제어기술 : 10.45% 절감-KTL)
(2) 공공기관 설치 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한 전력절감량, 탄소저감량 데이터 수집
(3) 공공기관(정부, 지자체, 산하기관 등) 대상 시범 설치.
(4) 탄소중립포인트 연계, ESG 인증, 일자리 창출.
(5) 시범 성과 기반으로 전력절감기 설치 및 지원 조례’ 제정 추진.
3) 전력절감 실현 사례 :
- 송파구청, KT&G 경기본부, 울주시설관리공단, 소방서, 교육기관 등 다수의 민간기업 및
개인 운영 중
라. 기대 효과
1) 공공기관 탄소중립 실천 가속화 :
(1) 전체 소비전력 최적화로 탄소발생량 감소 실현.
(2) 저비용. 단기간 소요로 탄소발생량 감소 실현.
2) 공공기관 전력절감량, 탄소저감량에 대한 데이터 수집과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 실현
3) 공공기관의 전력절감에 따른 관리비용(전력비) 절감.
4) ESG 이미지 강화 : 공공기관 탄소절감 실천 모범적 국가 이미지 구축.
5) 국내 탄소발생 최소화 기술산업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마. 마무리 제언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가장 기본인 생산된 전력의 소비효율 개선을 위한 입력단 제어기술 기반 전력절감기 도입은 저비용,
단기간, 즉효성으로 탄소중립 실현 가속화에 기여할 것입니다.”
"공공기관 전력절감기, 모니터링시스템 시범 도입 및 조례 제정은 탄소중립을 향한 정부의 실천 노력의 상징이고 민간으로
확장시키는 가장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공공정책입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