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아마추어 무선 실시간 스트리밍 & 커뮤니티 플랫폼 제안서

제안 배경/아마추어 무선은 단순히 취미를 넘어 비상 통신, 기술 학습, 국제 교류 등 다양한 가치를 지닌 활동입니다. 하지만 햄 인구의 고령화, 신규 햄 유입 감소, 젊은 세대의 흥미 유발 부족 등의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현재의 아마추어 무선 활동은 주로 음성 교신에 머물러 있어 시각적인 경험이 부족하고, 햄들 간의 직접적인 교류 외에는 외부에서 활동을 접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아마추어 무선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자, 저희는 아마추어 무선 통신을 실시간 영상 및 자막으로 공유하고 햄들이 소통하는 인터랙티브 온라인 플랫폼을 제안합니다. 이 플랫폼은 아마추어 무선의 매력을 시각적으로 극대화하고, 전 세계 햄들이 언제든 서로의 활동을 보고 배우며 참여할 수 있는 역동적인 장을 제공할 것입니다. 제안 목적/아마추어 무선 대중화 및 신규 햄 유입 증대: 젊은 세대와 일반 대중에게 아마추어 무선의 재미와 가치를 시각적으로 전달하여 새로운 햄들의 유입을 촉진합니다. 글로벌 햄 커뮤니티 활성화: 전 세계 햄들이 실시간으로 교신 활동을 공유하고 소통하며, 국경을 넘어선 유대감을 강화합니다. 기술 교류 및 학습 촉진: 다양한 햄들의 운용 방식, 장비 활용 노하우 등을 시각적으로 공유하여 기술 발전과 학습에 기여합니다. 비상 통신 역량 강화 및 홍보: 재난 상황 시 아마추어 무선의 역할을 시각적으로 알리고, 훈련 과정을 공개하여 비상 통신의 중요성을 부각합니다. 콘텐츠 아카이브 구축: 귀중한 교신 기록과 활동 영상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아마추어 무선 역사의 자료로 활용합니다. 주요 기능 및 아이디어 (흥미와 참여 유발)/ 실시간 통신 스트리밍 (Live Communication Streaming): "My Radio Live" 채널: 각 햄이 자신의 무전기 운용 모습과 교신 음성을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개인 채널을 제공합니다. (웹캠, 마이크 연동) 실시간 자막 (AI-Powered Live Captioning): 교신 내용을 AI 음성 인식 기술을 통해 실시간으로 텍스트 자막으로 변환하여 송출합니다. (다국어 지원 고려) 교신 정보 오버레이: 영상 위에 호출 부호, 주파수, 상대방 국가/지역 등 교신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합니다. 인터랙티브 교신 아카이브 (Interactive Communication Archive): 다시보기 및 검색: 스트리밍된 교신 영상은 자동으로 녹화되어 언제든 다시 볼 수 있도록 아카이빙됩니다. 호출 부호, 국가, 주파수 등으로 검색 가능합니다. "오늘의 베스트 교신" & "역사적 교신": 특별히 인상 깊었던 교신이나 아마추어 무선 역사에 기록될 만한 교신 영상을 큐레이션하여 노출합니다. 교신 지도 (QSO Map): 교신이 이루어진 상대방의 위치를 세계 지도에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과거 교신 이력을 지도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햄 커뮤니티 및 소셜 기능 (HAM Community & Social Features):/프로필 페이지: 각 햄의 호출 부호, 장비, 주요 활동 분야, 교신 이력 등이 담긴 프로필 페이지를 제공합니다. "HAMs' Pick" & "Trending Radios": 사용자들의 좋아요, 조회수 등을 기반으로 인기 있는 스트리밍 채널이나 화제의 교신 영상을 메인 페이지에 노출하여 참여를 유도합니다. 댓글 및 실시간 채팅: 스트리밍 중 또는 다시보기 영상에 대한 댓글, 실시간 채팅 기능을 통해 시청자와 햄 간, 또는 시청자 간 소통을 활성화합니다. 그룹 및 이벤트 채널: 특정 주제(예: DX, 위성통신, 비상통신 훈련)나 이벤트(콘테스트)를 위한 그룹 채널을 개설하여 집중적인 활동 공유를 돕습니다. 교육 및 홍보 콘텐츠 (Educational & Promotional Content):/입문자를 위한 가이드: 무선기기 연결 방법, 소프트웨어 설정, 교신 에티켓 등 초보 햄을 위한 영상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기술 강좌 스트리밍: 안테나 제작, 장비 수리, 새로운 디지털 모드 활용법 등 기술 관련 강좌를 라이브로 진행하고 아카이빙합니다. 비상 통신 시뮬레이션: 실제 재난 상황을 가정한 비상 통신 훈련을 라이브로 보여주어 아마추어 무선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기술 구현 방안 (간략)/ 프론트엔드: React, Vue.js 등의 SPA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직관적이고 반응성이 좋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합니다. 백엔드: Node.js, Python (Django/Flask) 등으로 견고하고 확장성 있는 서버를 개발합니다. 스트리밍: RTMP/WebRTC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Nginx-RTMP 모듈 또는 클라우드 기반 스트리밍 서비스(AWS Media Services, YouTube Live API 등)를 활용하여 안정적인 라이브 송출 및 다시보기를 지원합니다. 음성 인식 (STT): Google Cloud Speech-to-Text, 네이버 클로바 스피치 등 고성능 클라우드 기반 STT API를 연동하여 실시간 자막을 생성합니다. 데이터베이스: PostgreSQL 또는 MongoDB를 사용하여 사용자 정보, 교신 기록, 영상 메타데이터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호출 부호 인증: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KSTAR) 등 공식 기관의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호출 부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초기에는 수동 인증 병행 가능) 법적 고려 사항 및 대응 방안/ 통신 내용 공개 동의: 아마추어 무선 통신은 기본적으로 공개되나, 플랫폼에 영상 및 자막으로 송출하고 아카이빙할 경우, 교신 상대방의 명시적인 동의를 필수로 받도록 시스템을 설계합니다. (예: 스트리밍 시작 전 동의 팝업, 웹사이트 가입 시 약관 명시) 개인정보 보호 및 초상권:/영상에 개인의 얼굴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권장하고, 필요시 모자이크 처리 등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개인 신상 정보(주소, 전화번호 등)가 자막이나 영상에 노출되지 않도록 경고 메시지 및 필터링 시스템을 고려합니다. -- 공간이 짧아 채택되면 마저 제안하겠습니다. 활성화를 위해서 과기부장관님이나 연맹 책임자님이나 국제기구 책임자나 이런 것으로 좀 생각보셈.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