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김종민 국회의원] 국민자산제: 기본소득 보완 및 자산 소득 대중화를 위한 정책 제안

국민자산제 기본소득을 보완 진전시키는 자산소득 대중화 방안 ☐ 제안 취지 ❍ (개념) ‘기본소득 정책을 보완 진전시킨 국민자산제도’ - 국민 모두에게 자산소득 출발점 제공 ➔ 자산운용 ➔ 자산소득 대중화 - 세금 의존의 기본소득, 수혜규모가 제한적인 국민연금의 한계 보완 ❍ (배경) 자산소득 격차, 노후대책 미흡, 개인적 자산 운용의 한계 - 대한민국 세계 10위권 경제권임에도, 근로소득과 자산소득 격차 확대 - 국민연금 등 기존 복지제도 한계, 현행 방식으로 제도 지속 위기 - 코인, 주식, 부동산 자산 편중 ➜ 노후·실업·주거 등 민생불안 ☐ 주요 내용 ❍ 국민자산펀드(기금) 조성 - 국민 1인당 1억 원 정도 출자하는 국민자산펀드 조성 - 출자 자금은 대출 지원, 운용은 국민자산펀드 출자로 한정 ➔ 전세자금 대출 모델 - 그 이후 디지털세·탄소세 등 재원 조달해서 기금 확대 ❍ 국민자산펀드 운용 - 글로벌 분산투자로 철저한 수익 지향 운용 - 수익률 목표는 국민연금(5%)과 캐나다연기금(9%)의 중간 정도인 7% - 국민자산공사 설립, 독립적 거버넌스 통해 투명성·공공성 강화 ❍ 수익 배분 및 지원체계 - 이자는 개인별 부담하되, 소득 1,2,3 분위는 이자 지원 검토 - 20년 이상 장기 투자를 원칙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시스템 - 순자산이 일정 규모(3천만) 이상 형성되면 이를 레버리지로 저금리 생활자금 대출 지원 ☐ 기대 효과 ❍ 서민과 중산층의 자산 소득 지원 - 동일한 자산 출발점 제공으로 격차 완화, 중산층 복원. ❍ 국민연금으로 부족한 노후 민생 대비 ❍ 대규모 생산적 투자자금 확보로 전략 산업 활성화에 기여 ☐ 추진방안 ① 정부 내 검토 및 계획수립 (기재부, 금융위, 보건복지부) - 전문 연구용역 통해 제도 타당성, 재정 영향, 법적 쟁점 분석 ② ‘국민자산공사법’ 제정 - 기금 조성·운용·배분 설계 ③ 국민자산공사 설립 - 독립적 거버넌스(테마섹·노르웨이 GPFG 모델) ④ 시범실시 - 시범사업 통해 제도 운영상 문제점 보완 후 확대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