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 경쟁은 이제 하드웨어와 플랫폼 주권을 장악한 국가만이 미래를 이끌 수 있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AI 생태계는 그간 NVIDIA CUDA에 지나치게 종속되어 AI 인프라·모델·플랫폼 전 과정에서 주권이 제한되어 왔습니다. 이에 반해 중국은 자체 GPU 개발 및 AI가속기, 자국 중심의 오픈모델 생태계로 플랫폼 독립성과 외연 확장을 동시에 이루고 있습니다.
대한민국도 더 이상 단일 플랫폼 의존을 반복할 수 없습니다.
외연적 확장과 내부역량 강화, 두 전략이 동시에 추진되어야 진정한 AI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습니다.
1. 외연적 확장: 글로벌 연동·개방형 협력 생태계로
첫째, 정부와 공공 AI센터는 AMD, NVIDIA 등 복수 벤더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국내에 ‘이중화 AI센터’를 구축해야 합니다.
이 센터들은 각기 다른 하드웨어·플랫폼의 기술 표준과 운영 경험을 쌓고, 이를 통해
글로벌 오픈모델(GGUF, ONNX 등) 및 AI도구의 ‘멀티플랫폼 호환성’ 확보
깃허브, 허깅페이스 등 국제 AI 커뮤니티와 실시간 연동
외국/국내 벤더 간 기술 경쟁 촉진과 가격경쟁력 확보
해외 AI연구 및 민간기업, 스타트업과의 협력 플랫폼 확대
를 이룰 수 있습니다.
둘째, AI센터의 오픈소스·공공데이터 정책을 강화해, 국내외 누구나 접속해 연구·개발·실험이 가능한 **글로벌 ‘K-플랫폼’**으로 성장시켜야 합니다.
K-허깅페이스, K-깃허브 등 ‘한국형 오픈 AI포털’ 개발
글로벌 개발자·기업의 적극적 참여 유도
개방형 API·데이터셋·모델 변환도구의 표준화
등을 통해 한국이 AI 글로벌 생태계의 ‘허브’가 되도록 해야 합니다.
2. 내부역량 강화: 국산화·감시체계·인재·실질거버넌스
셋째, 국산 GPU·AI가속기, 운영체제·알고리즘의 개발과 상용화를 전략적으로 추진해야 합니다.
공공과 민간 R&D 투자, 산학연 협력 테스트베드 확대
국산 하드웨어에서 최적화된 AI모델/LLM 개발 및 배포
데이터·모델의 국내 저장·활용 의무화 등 ‘AI주권’ 보장
국내 스타트업·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국가 리소스 배분
이 병행되어야 진짜 ‘AI 내부역량 강화’입니다.
넷째, AI센터 운영의 거버넌스(이사회, 감사, 윤리위원회 등)와 기술 감시체계를 대폭 강화해야 합니다.
벤더 독점, 기술왜곡 방지를 위한 ‘상호 견제’ 시스템
외부 전문가, 이용자, 시민사회 참여를 통한 개방형 의사결정
AI 윤리·공공성 검증 강화
를 통해 신뢰와 투명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다섯째, AI 전문 인재 양성과 국내 커뮤니티 활성화도 필수입니다.
전국 AI대학원·기업·연구소와 AI센터의 연계
오픈 챌린지/해커톤, 교육프로그램 상시 운영
국내 개발자·연구자 네트워크의 상시 소통 채널 구축
으로 현장 중심 실력과 혁신을 동시에 키워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이중 AI센터(AMD-NVIDIA 등) 체계’와 함께,
외연 확장: 국제 연동, 오픈 생태계, 글로벌 AI 허브
내부 강화: 국산화, 감시·견제 거버넌스, 인재·혁신 역량
을 동시에 실현해야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습니다.
지금이 ‘AI 주권과 혁신’을 동시에 이루는 국가 전략의 골든타임입니다.
이 정책 제안이 대한민국 AI 미래의 핵심 나침반이 되길 바랍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