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중장년 복지알림 서비스 및 선제적 복지연계 시스템 도입

안녕하세요 현재 많은 중장년 분들은 복지가 뭐뭐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홍보도 안되어있을 뿐더러 직접 찾아가야 알수만 있습니다. 이제는 복지가 직접 찾아오는 서비스로 바뀌어야 합니다. 정책 제안 내용 복지알림 문자 자동 발송 시스템 구축 40~50대 중장년층 중 실직, 저소득, 독거, 돌봄 필요자, 장기 미취업자 등으로 분류된 대상에게 맞춤형 복지 문자 또는 카카오톡 알림 발송. 기존 ‘복지로’ 사이트 기반이 아니라 AI 기반의 상황 분석 및 DB 연계를 통해 선제적 발송. 고용보험·건강보험·주민센터 DB 연계 실직자, 장기 무직자, 소득 급감자 등 데이터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복지 안내가 발송되도록 설계. 필요시 사회복지 전담 공무원이 유선·방문 상담 연결. 동주민센터 '중장년복지코디네이터' 배치 (경력끊긴 30대분이나 40, 50대 이신분들분 채용) 중장년 대상 전담 상담 인력을 지정하여 생계, 의료, 취업지원 등 다방면으로 연결 가능. 찾아가는 상담 및 서류 작성 대행 지원 포함. 중장년 특화 복지플랫폼 '마흔 이후 복지지도' 개설 40대 이후 받을 수 있는 복지혜택을 맞춤형 시뮬레이션으로 한눈에 제공. 웹/모바일 버전 모두 개발하여 접근성 강화. 정기 알림제 도입 연 2~4회 개인 상황에 맞는 복지 정책 변화사항 및 신청방법 안내 문자 자동 전송. 정책 제안 이유 현실적으로 많은 40~50대 중장년층은 복지제도를 몰라서 못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존 복지 시스템은 "신청주의 기반", 즉 본인이 직접 알아서 찾아야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그러나 실직 상태이거나 사회적 고립 상태인 중장년은 스스로 신청하는 것이 어렵고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따라서 "찾아가는 복지" → "다가오는 복지" 로 시스템이 전환되어야 합니다. 기술 기반(데이터 연계, AI 분석)을 활용하여 조용히 위험에 빠진 국민도 놓치지 않도록 하는 제도가 필요합니다. 정책 기대 효과 복지 사각지대 최소화 중장년 고립 및 자살 예방 정부에 대한 신뢰 상승 및 체감도 높은 복지 실현 일자리 연계 및 정신적 고립 해소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