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교통 상품권 선물 활성화 제안
2. 용어정의
교통 상품권 : 교통수단에 한해 이용금액 지불 수단으로 사용 할수 있는 (준)현금성 상품권
교통수단
직접 : 항공권, 고속버스, 시외버스, 여객버스, 광역버스, 택시, 대리비, 퀵보드, 자전거, 전철, KTX, SRT, 등 각종 여객 교통수단
간접 : 자동차 정비비용, 고속도로 휴게소 비용, 졸음쉼터 비용, 공항내 각종 점포, 전철역 각종 점포, 기차내 매점, 고속/시외 터미널 내 각종 점포, 주유소(유류), 등
3. 현 상태
❍ 카카오T 카카오택시 포인트 기프티콘, 티맵 대리 쿠폰 등의 자체 컨텐츠를 통해 상대방에게 기프티콘등으로 선물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
4. 모티브 & 제안사유
❍ 2022년 4월 이후 교통 요금이 인상되면서 이용자들이 느끼는 교통비 부담이 크게 증가
❍ 교통 상품권으로 개인간 선물 형태로 주어도 거부감이 없는 사회적 분위가 조성됨
❍ 고객 니즈 파악 및 맞춤형 홍보 전략을 통해 이용자층 확장 및 신규 고객 유입 효과 가능
5. 벤치마킹
❍ 백화점 상품권, 스타벅스 쿠폰, 문화상품권, 온누리상품권, 카카오택시 포인트 기프트콘, 티맵 대리 쿠폰 등
6. 발전방향: 개인 > 회사 > 자유형 교통 상품권(직접, 간접) > 통합형 교통 상품권
1단계 - 개인간 독립된 교통 상품권 선물
2단계 - 회사 구성원들에게 교통 상품권 선물
3단계 - 교통수단에 한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자유형 교통 상품권
4단계 - 교통과 관련된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유형 교통 상품권
5단계 - 플랫폼 종속이 없이 교통수단(직/간접)에 한해 자유롭게 사용할수 있는 통합형 교통 상품권
7. 결제 방법(안)
상품권(포인트) - 기존 백화점 상품권과 동일, 해당금액 이내로 지불 형태
횟수 - 횟수 차감 형태로 여객수단 이용가능
정액 - 기간이 정해져 있는 정액수단 이용가능
할인 - 원하는 시점에 총금액에서 할인을 하여 사용할수 있는 형태
8. 공통 기대효과
❍ 탄소중립 사회로 가는 길은 다수의 이용자가 대중교통 이용이 가장 최적안임
❍ 교통 상품권을 단순히 여객 수단 결제에 한정된 개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차원의 개념으로 확장하는 방안 제안
❍ 교통 상품권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제한된 사용 범위를 넘어서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
9. 향후 발전방향
❍ 한국에서 축적한 노하우와 산업적 성과를 바탕으로, 외국의 교통 관련 기업들과 제휴하여 기술과 교통 문화를 수출하는 방안을 제안
❍ 한국의 우수한 교통 시스템과 기술을 글로벌 시장 확산
❍ 국제적인 협력과 성장 기회 창출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