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전시 군대 물류체계 발전 방안
2. 고민사항
❍ 한국 지형 특성을 반영한 육로, 철도, 해로, 공중 보급 고려
❍ 기존 패키지 추진 보급에서 한 단계 발전시킨 컨테이너 추진 보급 벤치마킹
❍ 외골격 슈트 등을 통한 병사의 인체 능력 향상 고려
❍ D·N·A 기술을 보급 분야에 적용해 스마트 강군 건설기조 벤치마킹
❍ 4차 산업혁명과 저출산 인구 절벽 시대를 맞아 육군은 가장 중요한 핵심 전력인 병력을 감축하는 상황 고려
3. 용어정의 - 접이식 컨테이너
컨테이너 해운업계의 오랜 꿈이었던 접이식 컨테이너가 상용화 된다.
네덜란드 델프트공과대학교(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산하의 HCI(Holland Container Innovations)는 컨테이너 4개를
접어서 포개면 40피트 하이큐빅 컨테이너 1개 크기로 줄어들어 컨테이너 1개 운송비용으로 4개를 운송할 수 있는 ‘4 FOLD 접이식 컨테이너’를 선보였다.
이 접이식 컨테이너는 2명의 작업자가 4분 이내에 컨테이너를 접고 펼 수 있을 정도로 조작도 간편하다.
‘4 FOLD 접이식 컨테이너’의 한국 총판 대리점인 박스조인(주)의 전병진 대표는 “한진해운, APL, Seatrade, BAL line 등 주요 컨테이너 선사들이 ‘4 FOLD 접이식 컨테이너’를 테스트 중이다. 선사들의 테스트가 끝나면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현재 중국과 미국에서 철도운송테스트가 진행 중인데 이 테스트까지 성공하면 컨테이너업계에 일대 혁명이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네덜란드 HCI, 접이식 컨테이너 상용화
(물류신문 – 2016.06.20.)[https://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3735] 참고
4. 현 상태
❍ 치장물자 창고에서 인력을 통해 물자 소산하는 문제
❍ 부대 이동시 민수용 천막, 상동형 천막등 일원화 되지 않은 지휘소 개소하는 문제
❍ 부대별 수송부대 차량 일원화 안됨
5. 로드맵 제안
❍ 1단계 – 기존 육공트럭 / 민수용 트럭 차량 개선 장비 및 외골격 슈트등을 도입을 통한 최소병력으로 최대의 효율성 달성
❍ 적용부대: 보급부대 기준 - 중대급 이상
❍ 필수 조건
- 기존 육공트럭 / 민수용 트럭 차량 개선 장비 군대 도입 및 지속적인 유지관리 비용 필요
- 민수용 지게차 도입 및 지속적인 유지관리 비용 필요
- 축전기를 통한 반자동 운반차 도입 및 지속적인 유지관리 비용 필요
- 외골격 슈트등을 도입 및 지속적인 유지관리 비용 필요
구분
발전방안
차량 개선
1. 기 보급된 육공차량, 민수용 트럭 바닥에 맞는 자동으로 움직이는 이동식 컨테이너 벨트 기기 도입
2. 기 보급된 육공차량, 민수용 트럭 덮게에 맞는 자동으로 움직이는 차량형 덮개 기기 도입
스피드플로어 스마트 자동화물 상하차 동영상
https://youtu.be/My6yaOgZC5U?feature=shared
스피드플로어 트레일러 실증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oFJiu3lDVKw
❍ 2단계 – 접이식 컨테이너 도입을 통한 육로/해로/항공/철로 창고/지휘소/생활관 운영
❍ 적용부대: 보급부대 기준 - 대대급 이상
❍ 필수 조건
- 접이식 컨테이너 군대 도입 및 지속적인 유지관리 비용 필요
- 접이식 컨테이너 운송 민수용 차량 도입 및 지속적인 유지관리 비용 필요
- 접이식 컨테이너 전용 민수용 지게차 도입 및 지속적인 유지관리 비용 필요
❍ 3단계 – 평시 / 전시 기준 물류 체계 발전 방안
Amazon Fulfillment 시스템 동영상 참고
https://youtu.be/8nKPC-WmLjU?feature=shared
평시/
전시
전/평시 접이식 컨테이너 치장 / 물자 / 자재 창고운영 중 전시 상황 발생시 컨테이너 이동 지게차를 통해 민수용 컨테이너 화물 트럭에 옮기고 이전, 새로운 장소에 개소하여 기존 업무 지속 수행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