녀사냥을 통한 약자 괴롭힘 심리 분석
사건을 조작하여 마녀사냥을 하려는 심리는 복합적이며, 주로 사회적, 심리적 기제가 작용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특정 약자를 희생양으로 삼아 자신들의 욕구를 충족하거나 특정 목적을 달성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됩니다.
1. 투사 및 책임 전가
자신이 가진 부정적인 감정, 실패, 불안 등을 타인에게 투사하여 비난의 대상을 만듭니다. 사회나 집단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원인을 특정 약자에게 돌림으로써 복잡한 문제에 대한 단순하고 즉각적인 해답을 얻으려는 심리가 작용합니다. 이는 희생양 찾기(Scapegoating) 심리와 직결됩니다.
2. 권력 유지 및 강화
특정 약자를 마녀사냥의 대상으로 지목하고 공격함으로써 기존의 권력 구조를 공고히 하거나 새로운 권력을 획득하려 합니다. 약자를 배제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자신들의 집단적 우월감을 강화하고 통제력을 행사하려는 의도입니다. 이는 특히 사회적 혼란이나 위기 상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3. 집단 동조 및 결속 강화
특정 대상에 대한 공동의 적대감을 형성하여 집단 내부의 결속력을 다지려는 심리입니다. 외부의 적을 만들어 내부의 분열을 막고, 집단 구성원들에게 소속감과 통일감을 부여하는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비판적인 사고보다는 군중 심리에 편승하여 집단 내에서 안전을 찾으려는 경향이 강하게 작용합니다.
4. 자기만족 및 도덕적 우월감
약자를 공격하고 비난함으로써 자신의 도덕적 우월감을 느끼고 자기만족을 얻으려는 심리입니다. 약자를 '악'으로 규정하고 자신들을 '선'으로 포장함으로써 정당성을 부여하고, 비난을 통해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기도 합니다. 이는 종종 자신의 열등감이나 불만을 해소하는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5. 공포심 조장 및 통제
조작된 사건을 통해 특정 약자에 대한 공포심을 조장하고, 이를 통해 사회 전반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도 있습니다. 대중에게 공포를 주입하여 합리적인 판단을 흐리게 하고, 자신들이 제시하는 해결책이나 방향에 순응하게 만들려는 목적입니다.
결론적으로, 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녀사냥은 개인적, 집단적 욕구와 불안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단순히 특정 개인을 괴롭히는 것을 넘어, 사회 전체의 다양성을 훼손하고 건강한 비판 문화를 저해하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1. 희생양 삼고
2. 날조하고
3. 그리고 또 여기서는 음.,.. 권력 유지를 하려고 하는것
-> 국민의 힘
지금도 인사청문회에서는 약자 괴롭히기 전략으로 어케든 죄인으로 물것입니다
왜? 국민의 힘은 실패자였으니까 ㅎㅎ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