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소상공인 지원사업에 신용카드사 제한적 이용 필요

최근 시작된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지원사업은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 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반가운 제도입니다. 크레딧 사용처가 공과금 및 4대 보험 납부로 제한되어 있지만, 그만큼 기본적인 경영비용을 줄이는 데에 직접적인 혜택이 됩니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해당 지원이 오직 ‘신용카드 납부’ 방식으로만 처리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기존에 지로 납부나 계좌 자동이체를 통해 공과금 및 4대 보험료를 성실히 납부해온 많은 소상공인들은 이를 신용카드 납부로 전환해야만 크레딧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50만 원 상당의 지원을 감안하면 납부 방식 변경의 번거로움은 감내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지원 종료 이후의 납부 방식에 대해 다시 한번 고민이 필요해집니다. 신용카드로 4대 보험료를 납부할 경우, 매월 약 0.8%에서 0.5%의 카드 수수료가 소상공인에게 추가로 발생합니다. 결국 크레딧을 사용한 이후에는 수수료 부담을 피하기 위해 다시 기존 방식으로 납부 체계를 되돌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깁니다. 이번 사업은 소상공인에게 도움이 되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 이면에는 신용카드사 입장에서도 반가운 기회가 됐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경기 침체로 위축된 카드 사용량을 공공요금 납부라는 안정적 수요로 일부 보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향후에는 이러한 기회를 기반으로, 소상공인의 공과금 및 4대 보험료 카드 납부 수수료 면제 논의로 이어진다면, 정부 지원이 민간 카드사의 인프라를 통해 소상공인에게 전달되는 방식이 보다 합리적이고 지속가능한 형태로 개선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국가가 신용카드사의 결제 인프라를 활용하는 데에 일정한 행정 효율이나 회계상의 투명성을 기대할 수는 있겠지만, 공공 영역에서 다루는 고정비용성 지출에까지 민간 결제 수단이 중간 역할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해 보입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