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대국민 AI 기반 안전 알리미 통합 플랫폼 통합(제안)
2. 제안 사유
❍ 개별 국가기관에서 안내 및 홍보하는 시스템을 AI 기반 하나로 통합하여 국가 재정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함
3. 플랫폼 서비스 대상
❍ 실종자(정상아등, 지적장애인, 치매환자), 가출 청소년 등 안내
❍ 지역별 행사 홍보
❍ 산간, 해안, 도시 등 지역별 재해 재난 알림
❍ 중앙 정부, 지방 정부 등 변경된 제도 홍보
❍ 질병 관련 알림
❍ 전국 전쟁 관련 긴급 알림
❍ 길거리 로고라이트
❍ 회사 상품 홍보
4. 플랫폼 서비스 방법
❍ 버스 정류장, 버스 전면, 측면, 후면 LED 문자 및 그림 안내 서비스
❍ 택시 정류장, 택시 전면 LED 문자 및 그림 안내 서비스
❍ 지하철 / 철도 정류장, 지하철 측면 LED 문자 및 그림 안내 서비스
❍ 일반 차량 – Tmap, 카카오 T 문자/그림/소리 안내 서비스
❍ 재해 재난 홍보 활용 문자/그림/소리 안내 서비스
❍ 건물 상단 설치된 상단 대형 LED 간판 문자/그림/소리 안내 서비스
❍ 길거리 로고라이트로 적시 적소 이미지/소리 안내 서비스
❍ SNS 소셜 미디어(페이스북, 트위터, Pikicast, 인스타 그램 등)
5. 긴급 AI 기반 안전 알림이 통합 플랫폼 운영 방안
❍ 상설
- 상시 관공서 홍보 및 회사 광고 운영을 통해 시스템 정상 작동 유무 확인
❍ 긴급
- 1단계: 민원인/공공기관 개인정보 동의
- 2단계: 민원인/공공기관 본인인증
- 3단계: 민원인/공공기관 – 동영상, 자연어, 이미지, PDF, 음성 등을 통해 알림작성
- 4단계: 검토하기 – 내가 작성한 글과 AI 요약글 확인
- 5단계: 알림 작성완료
- 6단계: AI 기반 각부처 및 기관 실시간 통지
- 7단계: AI 기반 각부처 및 기관 알림 상태 자체판단(발생시간 2시간이내)
* 18시 이후 발생 시 소관부서 야간 근무자 판단(경찰, 자치경찰, 소방청 기관 권한 위임)
- 8단계: AI 기반 해당지역 안전 알림이 시스템 작동
6. 각 홍보시 플랫폼 구성 및 연계 방안
❍ 플랫폼 구성도
7. 플랫폼 구성도 > 멀티 CSP 환경, MSP, AI 기반
❍ 버스 정류장, 버스 전면, 측면, 후면 LED 상세 연계 방안
버스/택시 정류장, 버스 정면, 버스 측면, 버스 내부
❍ 지하철 / 철도 정류장, 지하철 측면 LED 상세 연계 방안
외부 - 역사 스피커, 외부 - 스크린도어 상단, 외부 - 역사 안내 화면1, 외부 - 역사 LED 안내창
전철 내부1, 전철 내부2, KTX 내부(좌석), 역사 LED 안내창
❍ 택시 정류장, 택시 전면 LED, 각종 차량 – Tmap, 카카오 T 상세 연계 방안
택시 전면 LED, Tmap / 카카오 T 스피커
❍ 재해 재난 홍보 활용 상세 연계 안내
재해재난 개념도, 재해재난 스피커
7. 홍보 대상별 필요성 및 규모
❍ 실종자(정상아등, 지적장애인, 치매환자), 가출 청소년 안내
- 골든 타임 시간이 최대 3시간 이기 때문에 통합 시스템 구축으로, 실종지점으로부터
3시간 이내 지역에서 안전 알리미 시스템을 통해 집중 홍보를 하면, 찾을 확률
높일수 있음
- 실종자등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 비용 최소화 가능
* 잃어버린 아이를 찾는 골든타임 시간은 최대 3시간(실종 직후 2~3시간)
https://www.korea.kr/news/visualNewsView.do?newsId=148837076
* 실종아동 등 신고접수 및 처리현황 통계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610
* 실종자등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 비용 최소화 가능
❍ 지역별 행사 안내
- 2020년 지역축제 개최 현황은 968건이며, 해가 넘어갈 때 마다 개수가 늘어 나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할수 있음. 해마다 축제는 늘어가고 있지만, 홍보 마케팅
노하우가 많지 않아서, 일관성있는 지역별 행사 홍보 수단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 문화체육관광부 2020년 지역축제 및 문화 관광 축제
https://www.mcst.go.kr/kor/s_culture/festival/festivalList.jsp
❍ 산간, 해안, 도시 등 지역별 재해 재난 안내
- 재난안전대책본부를 통해 아래와 같은 상황에 대한 매뉴얼이 준비되어 있지만, 이를
효율적으로 알릴 수 있는 수단이 극히 제한적임
* 재난안전대책 본부
https://bangjae.jeju.go.kr/related/history/environment/disasters.htm
❍ 중앙정부, 지방 정부 등 변경된 제도 안내
- 자치분권은 지방자치 단체의 권한과 책임을 합리적으로 배분해 국가와 지방자치
단체의 기능이 서로 조회를 이루고,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결정과 집행과정에 주민의
직접적 참여를 확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제도라도 홍보가 되지
않으면, 참여자가 낮고, 효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일괄성 있는 통합 홍보 체계가
필요함
❍ 질병 관련 안내
- ‘코로나19’로 인해 질병관련 홍보가 활성화 되고 있으나, 분산적인 홍보가 되고
있기 때문에 재정 낭비가 발생됨. 이에 따라 통합 홍보가 필요함
❍ 전국 전쟁 관련 긴급 안내
- 전쟁 발생시 실시간 대피소등의 홍보 기능 부재로 인해, 버스, 택시등 자가 전력
발전기를 탑제한 운송기등을 통해 고정적인 홍보 시스템에서 실시간 유동적인 홍보
시스템으로 점진적 발전이 필요함
❍ 회사 상품 홍보
- 회사 상품 홍보등을 통해 수시 시스템 운영을 통해 단기성 시스템 운영을 배제하여,
시스템 안정성 확보 목적
8. 향후발전제안
❍ 해외 대국민 AI 기반 안전 알리미 통합 플랫폼 홍보 및 라이센스 판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