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및 문제의식
현재 20대 청년 예술인들은 다음과 같은 이중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습니다:
1. 창작 발표 기회의 부족
• 지역 또는 소규모 예술가에게 무대와 전시공간이 부족함
• 대중과 소통할 통로가 제한적이라 예술 활동 지속이 어려움
2. 지원 사각지대 문제
• 현재 예술인 지원은 대부분 소득 분위 기준으로 책정됨
• 하지만 많은 청년 예술인이 부모와 거주함에도 실질적인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 이로 인해 부모 소득으로 인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불합리한 사각지대 발생
⸻
🎯 정책 제안
1. 청년 예술인 무대 확대 사업
• 지역별로 유휴 공간(공공도서관, 청년센터 등)을 활용한 정기 공연·전시 지원
• “내가 만드는 무대” 같은 청년 주도형 기획 공모 도입
• 청년 예술인과 관객이 직접 소통할 수 있는 마켓형 문화 축제 지원 (예: 청년 아트마켓)
2. 개인 소득 기준 지원제도 도입
• 청년 예술인의 실질적 자립 여부를 판단하는 개인 기준 소득 심사 도입
• 부모와 동거하더라도, 실제 경제적 독립 여부를 기준으로 지원 가능토록 제도 개선
• 일정 기준 이상의 포트폴리오나 예술 활동 증명 시 활동 장려금 또는 창작비용 지원
3. 청년 예술인 네트워크 및 멘토링 시스템 구축
• 지역 청년 예술인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플랫폼 구축
• 기성 예술가와의 1:1 매칭 또는 소그룹 멘토링 운영
• 소통 중심의 예술 공동체 조성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