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제안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카카오T, 티머니 GO 등 어플을 통해 택시 부를 때, 목적지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택시는 대중교통이므로, 승차거부에 대해서는 과태료 처분 및 택시운전자격 취소까지 처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플을 통해 택시를 잡을 때 택시기사가 목적지를 보고 승객을 골라 태우는 것은 승차거부에 해당하지 않아 무방비로 방치되어 있습니다. 빈차로 나와야 하거나, 거리가 짧아 요금이 얼마 나오지 않는 등 택시기사가 생각할 때 별로라고 생각되는 콜에 대해서는 택시기사가 넘기거나 무시하는 일이 많아, 일행과 같이 택시를 잡더라도 일행은 이미 집에 도착했음에도 저는 콜을 잡지 못해 길거리에서 택시를 마냥 기다리고만 있던 적이 한 두번이 아닙니다. 이러한 일화에 대해 택시기사들에게 말을 하면, 가기 편한 곳을 가고자 택시의 시동을 끄고 계속 콜을 넘겨가며 기다리다가 멀리가는 돈 많이 벌 수 있는 콜만 잡는다고 합니다. 이게, 길거리에서 목적지를 물어보고 안태우고 택시가 그냥 지나가는 것과 무슨 차이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택시가 대중교통으로서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택시기사의 화면에는 콜을 한 위치만 보일 수 있도록 하여 어디까지 가는지 등 정보를 주지 않도록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서울->대전 등 장거리일 경우에는 별도 장거리 콜 등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대부분 택시를 어플을 통해 잡는 상황에 맞게 승차거부 행위도 더 폭넓게 확대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콜을 넘기는 것과 같은 능동적 승차거부를 없애기 위해 배차 화면에서 목적지를 없애 보여주지 않는 것을 제안드립니다.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