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토론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토론중

지방 공공도서관 기능 강화 및 문화거점화 제안

토론기간2025.07.30 ~ 2025.08.03

존경하는 대통령님께, 지방 소도시나 농촌 지역의 공공도서관은 단순한 책 대출 공간을 넘어, 주민의 교육·문화·정보 접근을 위한 핵심 플랫폼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예산 부족, 인력 구조의 한계, 시설 노후화 등으로 인해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정책을 제안드립니다: 1. 지방 도서관 문화복합화 시범사업 확대 – 도서관을 독서 공간을 넘어, 전시·체험·커뮤니티 기능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재구성 – 작은 미술관, 로컬 역사관, 청소년 활동공간 등을 도서관 내에 통합 가능성 검토 2. 지역 청년/은퇴 전문인력의 도서관 참여 지원 – 은퇴 교사, 예술인, 전문가들이 문화강좌나 독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역 일자리와 연계 – 지역 청년 인턴제 확대를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과 운영 지원 3. 도서관 운영인력 및 콘텐츠 다양성 확보 – 지방 도서관 운영직 인력 정원 확대 – 예산지원 기준에 콘텐츠 다양성(다문화, 장애인, 청소년 등) 확보 여부 반영 4. 국민체감형 캠페인 진행 – “도서관이 바꾸는 삶” 등 국민 참여형 스토리 캠페인으로 인식 개선 및 이용률 제고 도서관은 가장 작지만 가장 강력한 사회 인프라입니다. 대통령님의 리더십 아래, 전국 어디서든 문화와 정보에서 소외되지 않는 ‘지방 균형문화 정책’의 상징 거점으로 도서관을 육성해주시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5

비추천

0

AI 기반 핵심 요약

ai기반 핵심요약 로봇이미지

현황 및 문제점

  • 지방 공공도서관의 제 역할 미흡
  • 예산 부족: 지속적인 재정 지원 부족
  • 인력 부족: 운영 인력 및 콘텐츠 다양성 확보 어려움
  • 시설 노후화: 현대화된 서비스 제공의 한계

개선 방안

  • 문화복합화 사업 확대: 도서관에 전시, 체험, 커뮤니티 기능을 통합하여 복합 문화공간으로 재구성
  • 지역 인력 활용: 은퇴자와 청년의 도서관 참여를 통해 일자리 창출 및 프로그램 다양화
  • 운영인력 및 콘텐츠 강화: 도서관 운영 인력 확대 및 예산 지원 시 콘텐츠 다양성을 고려
  • 캠페인 진행: 도서관의 긍정적 변화를 알리는 캠페인을 통해 인식 개선 및 이용률 증가

댓글 -

정렬기준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