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인증 유지 시간이 5분 00초 남았습니다.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목록 표시 개수
정렬기준
아이들의 통학 안전을 위한 ‘등·하교 안전지킴이’ 공공근로 제도 도입 제안
[제안 배경] 현재 초등학교 등·하교 시간대의 교통안전 관리는 학부모들의 자발적 봉사(녹색어머니회 활동 등) 에 의존하고 있는 구조입니다. 특히 녹색어머니 활동은 ...
1
0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 활동 일수 변경 제안.
<제안 이유> 대전의 경우 초등학교에 있는 지킴이실 근무자는, 노인일자리사업의 역량활용 사업단(활동 기간 10개월, 월 최대 근무일수 20일)에 속합니다. 학사일정과 달...
학교 비정규직 교육공무직원 육아시간 차별 반대합니다
정규직은 3년간 육아시간을 사용할 수 있지만, 비정규직은 무급입니다. 다만 1년간 나라에서 임금을 보전해 줍니다. 그것도 휴계시간 때문에 2시간 복무를 달고 1시간 30분밖에...
8
대학교수 교류 근무 활성화 제도 정책 제안서: 고질적인 폐쇄적 한국의 대학교육을 혁신하는 혁기적 교육정책
대학교수 교류 근무 활성화 제도 정책 제안서: 고질적인 폐쇄적 한국의 대학교육을 혁신하는 혁기적 교육정책 제안자 : 신순호(국립목포대학교 명예교수) ...
모두의 광장이 분열을 야기 시키진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학교 근무자들의 퇴근 시간 문제의 건(세금 낭비)" 제안을 보고 모두의 광장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이곳이 의견을 제시하는 곳이니 갈라치기가 되지 않았으...
51
5
6
토론완료 교육부는 학교 내 직종 갈등을 업무 표준안 마련을 통해 해결해야 합니다
그동안 대한초등교사협회는 교육부에 학교 내 직종 간 갈등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하며, 교사·행정직공무원·공무직 간의 명확한 업무 기준을 마련해 달라고 요청해 왔습니다. 그...
1,509
919
교육정책 학교 근무자들의 필수 자격증 보유와 전문대 이상의 자격증 보유를 필수화시켜주세요.
요즘 교원에 대한 인식이 강하게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교원의 행정 업무와 교육업무 그리고 교사가 가지는 교육권과 학생의 학생권 이것들은 많은 갈등을 유발합니다. ...
토론완료 학교 근무자들의 퇴근 시간 문제의 건 (세금 낭비)
학교에서 근무하는 직종에는 교사 뿐 아니라 수많은 교육행정직, 학교공무직 분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분들은 점심시간도 교사와 마찬가지로 똑같이 근무 시간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4,227
3,815
4,226
교육공무직 근무조건 통일화
교육현장에서 유령처럼 근무하시는 교육공무직이라(교무, 행정, 급식, 특수, 상담, 청소,경비 등등)는 직군이 있습니다. 근무일이 275일 300일 330일365일이라는 기괴...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