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인증 유지 시간이 5분 00초 남았습니다.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국민 한 분 한 분의 목소리가 정책의 방향을 결정합니다. 지금, 여러분의 제안을 들려주세요.
공공형어린이집의 유지 및 확대를 위한 정책제안서
공공형어린이집의 유지 및 확대를 위한 정책 제안입니다. Ⅰ 제안배경 및 목적 본 제안은 엄격한 선정 기준과 지속적인 평...
1,133
1
3,032
포항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철강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
대한민국 산업화의 상징이자 경제성장의 버팀목이었던 철강산업이 지금 중대한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포항, 광양 당진을 중심으로 형성된 철강벨...
944
0
1,166
「이차전지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 위한 모두의 광장 정책 제안
◦(제안자) 김상수 포항시 이차전지기업협의회 수석부회장 ◦(내용) 국정기획위원회 ‘모두의 광장’ 정책 제안 정책제안 내용 ...
873
2
958
실패한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제도 폐지 제안
실패한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제도 폐지 제안 1. 현황 및 문제점 시간선택제 공무원은 크게 ▲시간선택제 전환공무원 ▲시간선택제 ...
390
403
보험판매수수료 개편관련 보험대리점(GA)업권 정책제안서
보험판매수수료 개편관련 보험대리점(GA)업권 정책제안서 1. 총론 지난해 금융위는 보험개혁회의 후속조치로 ▲사업비 체계 개편 및 수...
3,825
141
8,715
[연총]과학기술 정부출연연구기관 운영 혁신 및 연구자 처우 개선
제안 단체: (사)출연(연)과학기술인협의회 총연합회(연총) [회장: 김진수; Homepage: https://www.seanri.org/h...
349
301
건강한 교육 급식 환경 개선을 위해 영양교사 확대 배치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영양교사로 재직 중입니다. 작년 서울의 한 중학교 영양교사가 복직을 불과 사흘 앞두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사...
320
506
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 예산 절감 및 효율적 운영에 관한 정책 제안입니다.
Ⅰ. 제안배경 및 목적 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이하 센터라 함)는 2011년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사회복지...
314
203
난청 방치는 치매 위험! 인공와우 평생 지원으로 국민의 삶과 미래를 지켜주세요.
"듣는다는 것, 정말 개인의 몫일까요?" 이 질문은 단순히 소리를 듣는 불편함을 넘어 한 개인의 교육, 사회적 관계, 경제 활동,...
1,173
1,899
아이들의 수업 공백을 막아온 숨은 시스템, <순회기간제 교사 지원> 제도화를 요청합니다.
존경하는 대통령님, 안녕하십니까? 저는 항상 낮은 자리에서 주권자인 국민을 섬기고자 불철주야 노력하시고 국민들의 작은 목소리도 경청해 주...
470
755
목록 표시 개수
정렬기준
중장년층 재취업 지원을 위한 맞춤형 직업 교육 프로그램 확대
40~60대 중장년층은 은퇴 전후로 인생 2막을 준비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재취업은 쉽지 않으며 기술 변화에 뒤처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구조조정, 자영업 폐업, 조기 ...
수도권 집중 완화 및 지방 살리기 정책
1. 전면적인 '공공기관 지방 이전 시즌 2' 및 '기업 지방 이전 유인책 강화' 현황 및 문제점: 수도권에 집중된 공공기관과 대기업 본사는 고급 일자리와 인구 유출의 주요...
4
건설노동자를 위한 일자리 창구
저는 건축배관을 30년이상 한 근로자입니다.제가 오랜시간 일하면서 항상 느껴온 문제점은 일자리의 소통입니다.어느쪽은 일을 구하고 반대편은 사람을 구하는데 매칭이 안됩니다.정부...
대한민국이 '제2의 중동붐'에 버금가는 '아프리카붐'의 주도국가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적 실행 구상에 대한 Executive Summary
☞ 다음은 Grace Bridge Group이 추진하는 IMO Diaspora Smart City를 중심으로, 2048ha의 AI 기반 스마트시티와 2014ha의 RE100 ...
한국 제조업 붐업 교두보로서 나이지리아 RE100 산업단지 조성 및 IMO Diaspora Smart City 기반 한-나 경제동맹 구축
다음은 Grace Bridge Group이 주도하는 IMO Diaspora Smart City 프로젝트와 연계된 RE100 산업단지 조성에 대해, 한국 정부의 ODA 정책과 ...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청년 지역정착 패키지’ 강화 및 상시화
지방 인구의 급속한 감소는 한국 사회의 구조적 위기 중 하나입니다. 특히 청년층의 수도권 집중 현상은 지방의 노동력 고갈, 교육·의료서비스 축소, 지역 공동체 붕괴로 이어지고...
국비교육 수료자 기업 1:1 매칭 및 고용 인센티브 지원 정책
1.정책 제안 내용 안녕하세요 현재 국비지원 직업훈련을 통해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교육 수료 이후 취업 연계가 원활하지 않아 수료자들이 일자리를 찾는 데 어...
지역 문화창작센터 설립을 통한 예술 인재 육성과 콘텐츠 산업 활성화 시키기 정책
정책 제안 내용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현재 영화, 각본, 시나리오 등 예술 교육은 사설 예술학교나 학원 위주로 운영되며, 등록금과 학비가 매우 높아 일반 서민이나 청년들이 쉽...
4차 산업기술 및 신기술 취약계층 보급을 통한 산업육성 및 삶의 질 향상 방안
1. 개요 저출산·고령화·양극화 심화 속에서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인공지능·빅데이터·사물인터넷·로봇·블록체인 등)과 신기술(메타버스·양자컴퓨팅·친환경 에...
중증장애인 일자리 창출 및 고용 강화 방안
1. 서론 장애인 고용률(전체 3.21%, 공공부문 3.9%, 민간부문 3.03%) 수치는 2024년 통계로 확인되므로 2025년에도 크게 변동되지 않았다 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