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인증 유지 시간이 5분 00초 남았습니다.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국민 한 분 한 분의 목소리가 정책의 방향을 결정합니다. 지금, 여러분의 제안을 들려주세요.
포항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철강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
대한민국 산업화의 상징이자 경제성장의 버팀목이었던 철강산업이 지금 중대한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포항, 광양 당진을 중심으로 형성된 철강벨...
1,047
0
1,308
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 예산 절감 및 효율적 운영에 관한 정책 제안입니다.
Ⅰ. 제안배경 및 목적 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이하 센터라 함)는 2011년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사회복지...
663
533
「이차전지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 위한 모두의 광장 정책 제안
◦(제안자) 김상수 포항시 이차전지기업협의회 수석부회장 ◦(내용) 국정기획위원회 ‘모두의 광장’ 정책 제안 정책제안 내용 ...
911
2
1,018
공공형어린이집의 유지 및 확대를 위한 정책제안서
공공형어린이집의 유지 및 확대를 위한 정책 제안입니다. Ⅰ 제안배경 및 목적 본 제안은 엄격한 선정 기준과 지속적인 평...
1,147
1
3,074
건강한 교육 급식 환경 개선을 위해 영양교사 확대 배치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영양교사로 재직 중입니다. 작년 서울의 한 중학교 영양교사가 복직을 불과 사흘 앞두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사...
332
524
보험판매수수료 개편관련 보험대리점(GA)업권 정책제안서
보험판매수수료 개편관련 보험대리점(GA)업권 정책제안서 1. 총론 지난해 금융위는 보험개혁회의 후속조치로 ▲사업비 체계 개편 및 수...
3,904
145
8,882
난청 방치는 치매 위험! 인공와우 평생 지원으로 국민의 삶과 미래를 지켜주세요.
"듣는다는 것, 정말 개인의 몫일까요?" 이 질문은 단순히 소리를 듣는 불편함을 넘어 한 개인의 교육, 사회적 관계, 경제 활동,...
1,196
1,940
지체장애인교사가 대통령 및 정부에 드리는 호소문
존경하는 대통령님과 정부 관계자 여러분께 안녕하십니까. 저는 경기도에서 17년째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는 지체장애인 초등교사 박병찬입니다....
190
183
실패한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제도 폐지 제안
실패한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제도 폐지 제안 1. 현황 및 문제점 시간선택제 공무원은 크게 ▲시간선택제 전환공무원 ▲시간선택제 ...
399
415
의사과학자 양성을 통한 대한민국 바이오헬스 산업의 발전과 지방의료 개선 및 국가균형발전 차원「포스텍 의과대학」설립 정책 제안
ㅇ 대한민국은 지난 수십 년간 의학 분야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 왔지만, 지방은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심각한 지역의료 불균형 문제를 겪고...
249
245
목록 표시 개수
정렬기준
국비교육 수료자 기업 1:1 매칭 및 고용 인센티브 지원 정책
1.정책 제안 내용 안녕하세요 현재 국비지원 직업훈련을 통해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교육 수료 이후 취업 연계가 원활하지 않아 수료자들이 일자리를 찾는 데 어...
대기업 납품 시 원재료 가격 반영 의무제
안녕하십니까? 저는 대구의 ㈜신생공업이라는 텅스텐 초경합금을 제조하는 회사에서 상무이사로 10년째 재직 중인 이충섭입니다. 그 전에는 포스코에서 20년을 근무하였고, 기업 혁...
진안군 농촌형 일자리 개선을 위한 반일제 일자리 활성화 방안
진안 농촌형 일자리 현황 및 문제점 * 현황: 진안군은 인구 수가 24,625명으로 전북에서 평균 연령, 중위 연령이 가장 높은 고령화 지자체이며, 인구 고령 비율이 약...
40~50대 정년연장이 필요합니다
1. 정년연장의 필요성 - 현재 가장 많은 인구분포를 차지하는 50대 - 한창 일할 나이 60세에 퇴직을 하면 당장 소득이 없어짐 - 옛날과 달리 요즘은 결혼을 늦...
「일자리브릿지(Bridge Job Korea)」 프로젝트 – 사람과 일의 간극을 잇는 원스톱 고용연계 플랫폼
우리 사회는 지금, 한편으론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실업자들이 존재하고, 또 다른 한편으론 인력을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존재하는 고용의 이중적 위기를 겪고 있습...
토론완료 기존 청년내일채움공제제도 부활 및 확대
■ 제안 배경 ● 고졸자와 대졸자,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는 청년 취업 양극화를 부추기는 핵심 요인입니다. 통계청의 ‘2022년 임금근로 일자리 소득 결과(2022)...
77
20
일자리, 지역경제 활성화,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 등 현재 대한민국에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소기업기본소득을 제안합니다.
1. 중소기업기본소득 이란? - 중소기업에 다니는 근로자에게 매월 50만원(소득세에 포함 안됨) 지급. - 50만원은 3개월 소멸성 지역화폐로 지급. 2. 대상 - 대한민국...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