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인증 유지 시간이 5분 00초 남았습니다.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국민 한 분 한 분의 목소리가 정책의 방향을 결정합니다. 지금, 여러분의 제안을 들려주세요.
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 예산 절감 및 효율적 운영에 관한 정책 제안입니다.
Ⅰ. 제안배경 및 목적 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이하 센터라 함)는 2011년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사회복지...
673
0
541
포항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철강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
대한민국 산업화의 상징이자 경제성장의 버팀목이었던 철강산업이 지금 중대한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포항, 광양 당진을 중심으로 형성된 철강벨...
1,047
1
1,313
중증장애인 최저임금 보장을 위한 법·제도 개선 촉구 제안
1. 배경 및 문제 인식 ○ 중증장애인은 일반 노동시장 진입에 큰 제약을 겪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직업재활시설에서 근로를 이어가고 있...
153
209
이재명 대통령님께, 제5대 (사)한국극작가협회 이사장 외 3인의 사면을 간곡히 청원드립니다. 예술 현장을 무시한 폭력적인 예술 행정의 피해자입니다. 희곡과 예술가를 지켜주십시오.
존경하는 대통령님께 간곡히 호소드립니다. 한국 극작가협회 제5대 이사장 외 3인의 예술가는 부당한 행정 규제로 형사처벌을 받았습니다. 이...
84
138
보험판매수수료 개편관련 보험대리점(GA)업권 정책제안서
보험판매수수료 개편관련 보험대리점(GA)업권 정책제안서 1. 총론 지난해 금융위는 보험개혁회의 후속조치로 ▲사업비 체계 개편 및 수...
3,907
145
8,890
「이차전지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 위한 모두의 광장 정책 제안
◦(제안자) 김상수 포항시 이차전지기업협의회 수석부회장 ◦(내용) 국정기획위원회 ‘모두의 광장’ 정책 제안 정책제안 내용 ...
920
2
1,031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촉진을 위한 국가계약법 시행령 개정 제안
1. 배경 및 문제 인식 ○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에 따라 공공기관은 중증장애인생산품을 우선적으로 구매해야 하나, 지방계약법과 ...
101
152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사회적기업 인증 확대 및 지원 강화 제안
1. 배경 및 문제 인식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은 '사회적 목적 실현'에 부합하며 연간 약 815개소가 2만여 명의 장애인에게 일터와 훈련...
99
131
대전시 유성구 성북동 봉덕사 공중화장실 건축 제안(정책)ㅡ인간의 평등한 투표권처럼 인간의 평등한 배설기본권 정책 제안
제1조(목적)이 법은 공중화장실 등의 설치ㆍ이용, 위생적 관리 및 안전한 사용 환경 조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편의와 복지증진...
62
104
한약사의 일반의약품(OTC) 취급은 현행 약사법상 위법입니다 — 법 해석 명확화 및 행정 집행 강화를 촉구합니다 —
한약사의 일반의약품(OTC) 취급은 현행 약사법상 위법입니다 — 법 해석 명확화 및 행정 집행 강화를 촉구합니다 — 1. 제안 배경...
32
4
목록 표시 개수
정렬기준
안전불감증(지하철 가연성 소재 좌석 방치)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는 2003년 2월 18일에 대구지하철 중앙로역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 참사이며 철도 사고이다. 약 615억 원의 재산상 손실이 발생하였고, 192명이 사망...
수도권 지하철 노인분들 요금 500원이라도 받는거
65세가 되면 지하철 무료 요금이무료이고 지하철 무임권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서울교통공사등 적자가 노인분들이 늘어나고 있고 그만큼 무료 무임권을많이 받고 계서서 서울교통공...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 시간대별 차등화 탑승
대한민국의 급속한 노령화에 따라 경제활동인구는 줄고 노인들은 계속하여 증가하여 국민연금 위협뿐 아니라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문제까지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습니다. 전두...
서울시 교통요금
정책 제안서 ### **공시지가 및 생활물가 기반의 교통요금 개편안** ― 조세 정의 실현과 교통기관 재정 안정화를 위한 실질적 해결방안 ― --- ### **1....
부산에 해저터널과 문화산업활성화
제가 태어나서 20년동안 살았던 부산은 지금 경제가 많이 어려워졌다고 들었습니다. 부산 안에 있는 공장들은 주민들이 워낙 반대가 심해서 다른 지방으로 옮겨갈 수 밖에 없다는 ...
지하철 노인 무임승차 시차제 도입: 출퇴근 시간대 유료화 및 부분 요금 부과 방안
[제안 배경] 현재 만 65세 이상 노인에게 제공되는 지하철 무임승차 제도는 고령층 이동권 보장에 큰 기여를 해왔습니다. 그러나 급속한 고령화와 무임승차 인원 증가로 인한 지...
8
대중교통 소득공제율 100% 확대 건의 (연 360만 원 한도)
1. 건의사항 현행: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30% 소득공제 개선안: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100%를 소득공제 대상으로 확대 단, 연간 한도 360만 원 설정 (월 최대 30...
지하철 노인무임승차 개편 및 재정건전성 방안
# 지하철 노인무임승차 개편 및 재정건정성 방안 ## 현황 및 문제점 전국 교통공사는 노인무임승차로 인해 연간 9,928억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서울교통공사가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