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인증 유지 시간이 5분 00초 남았습니다.
국민의 목소리, 새로운 시작의 첫걸음 이재명 대통령이 듣겠습니다.
국민 한 분 한 분의 목소리가 정책의 방향을 결정합니다. 지금, 여러분의 제안을 들려주세요.
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 예산 절감 및 효율적 운영에 관한 정책 제안입니다.
Ⅰ. 제안배경 및 목적 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이하 센터라 함)는 2011년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사회복지...
666
0
535
포항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철강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
대한민국 산업화의 상징이자 경제성장의 버팀목이었던 철강산업이 지금 중대한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포항, 광양 당진을 중심으로 형성된 철강벨...
1,047
1
1,310
「이차전지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 위한 모두의 광장 정책 제안
◦(제안자) 김상수 포항시 이차전지기업협의회 수석부회장 ◦(내용) 국정기획위원회 ‘모두의 광장’ 정책 제안 정책제안 내용 ...
912
2
1,021
공공형어린이집의 유지 및 확대를 위한 정책제안서
공공형어린이집의 유지 및 확대를 위한 정책 제안입니다. Ⅰ 제안배경 및 목적 본 제안은 엄격한 선정 기준과 지속적인 평...
1,147
3,074
건강한 교육 급식 환경 개선을 위해 영양교사 확대 배치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영양교사로 재직 중입니다. 작년 서울의 한 중학교 영양교사가 복직을 불과 사흘 앞두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사...
333
525
보험판매수수료 개편관련 보험대리점(GA)업권 정책제안서
보험판매수수료 개편관련 보험대리점(GA)업권 정책제안서 1. 총론 지난해 금융위는 보험개혁회의 후속조치로 ▲사업비 체계 개편 및 수...
3,906
145
8,884
난청 방치는 치매 위험! 인공와우 평생 지원으로 국민의 삶과 미래를 지켜주세요.
"듣는다는 것, 정말 개인의 몫일까요?" 이 질문은 단순히 소리를 듣는 불편함을 넘어 한 개인의 교육, 사회적 관계, 경제 활동,...
1,198
1,943
지체장애인교사가 대통령 및 정부에 드리는 호소문
존경하는 대통령님과 정부 관계자 여러분께 안녕하십니까. 저는 경기도에서 17년째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는 지체장애인 초등교사 박병찬입니다....
191
184
노인 천만시대, 마음돌봄 노인상담전문기관 설립 정책 제안
노인 천만시대 마음돌봄 노인상담전문기관 설립 정책 제안 1. 제안 배경 및 필요성 ● 노인 인구 천만 시대 진입 ❍ 2025년 ...
160
227
의사과학자 양성을 통한 대한민국 바이오헬스 산업의 발전과 지방의료 개선 및 국가균형발전 차원「포스텍 의과대학」설립 정책 제안
ㅇ 대한민국은 지난 수십 년간 의학 분야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 왔지만, 지방은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심각한 지역의료 불균형 문제를 겪고...
249
245
목록 표시 개수
정렬기준
대중문화의 폭력성 확산과 인간성 상실 우려에 대한 철학적 성찰 및 제도 개선 촉구
1. 문제의식 최근 개봉한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전독시)》을 비롯하여, 웹툰·웹소설 원작의 다수 콘텐츠들이 과도한 폭력성과 전투 중심의 서사, 일방적 강자 서사, 타...
한국 과학기술 인재 양성 전략: 의대에 미친 한국에서 공대에 미친 한국으로
다음은 의대에 몰두하는 한국의 현 교육 현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중국의 공대 중심 인재 전략과 비교하여 한국이 과학기술 인재를 확보하고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 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명칭을 바꾸자. 그리고 전환기의 공간으로 바꾸자
옥천군 청소년관련 협동조합 <꿈꾸는 배낭>은 청소년 자치프로젝트 ‘징검다리학교’를 진행하다가 지역의 청소년 기관 수탁을 대비하고 지역의 건강한 청소년 담론 형성을 위해서 만든...
KBS 공영방송의 공공성과 공영성 강화를 위한 편성 혁신 정책 제안
1. 정책 배경 KBS는 한국을 대표하는 공영방송기관으로서, 정보 제공과 교육, 문화 형성, 사회 통합 기능을 수행해왔다. 하지만 디지털화, 상업화, 시청자의 파편화, 신뢰...
청소년의 시민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제안
1. 제안 배경 및 목적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청소년들이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기르고, 사회의 일원으로 주체적인 참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민주사회의 핵심...
초중등학교 시민교육 강화’ 공약 제도화 방안
‘초중등학교 시민교육 강화’ 공약에 대한 학교시민교육노조의 제안 “국가는 학교가 공적 담론의 장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하지만, 방치하고 있다.” 다음 제안 ...
10
18
‘크랩 효과(발목잡기 문화)’ 극복을 위한 상향평준화 필요성
1. 제안 배경 우리 사회는 개인과 집단의 발전을 저해하는 부정적 평준화 압력과 타인의 성취를 견제·방해하는 ‘크랩 효과(Crab Effect)’가 암처럼 확산되어 왔다...
『사이비종교·프로파간다·집단최면 방지 및 민주시민 역량강화 시민교육 표준 커리큘럼(안)』
1. 교육 목표 1. 사이비종교, 허위정보(프로파간다), 군중심리, 집단최면의 작동 원리를 이론과 사례를 통해 정확히 이해한다. 2. 비판적 정보판별 능력과 심리적...
5
진정한 여성 인권·성평등 의식 제고를 위한 정책제안서
1. 제안 배경 현대 미디어 환경과 온라인 플랫폼은 여성을 단순한 성적 대상 또는 생식기계로 축소·평가하는 왜곡된 서사를 반복적으로 재생산해 왔습니다. 이는 개별 여성의...
4
「극단적 '남성이권' 담론의 위해성과 국가전복·내란 선동에 대한 대응 방안」
1. 제안 배경 최근 일부 남성이권단체 및 온라인 커뮤니티는 남성 권익 보호를 명분으로 활동하나, 실제로는 여성혐오와 성별 갈등을 극단화하며 사회통합을 저해하고 있다. ...